[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7일 "제가 장관으로 있을 때 범부처 기술사업화를 해줘야만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이 살아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를 추진했다"며 "다음에 어떤 정권이 되든, 누가 (과기정통부) 장관이 되든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노력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핵심과제별 3월 주요실적 및 4월 추진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안세준 기자]](https://image.inews24.com/v1/f27a8fd2d2d4e2.jpg)
유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과기정통부 핵심과제별 3월 주요 실적·4월 추진계획 브리핑에서 발표를 마친 뒤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할 과기정통부의 주요 정책·업무 등을 묻는 취재진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유상임 "기술사업화 꼭 이뤄내야만 대한민국 AI G3 가능"
유 장관은 윤석열 전 정부에서 추진했던 범부처 기술사업화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기술사업화가 이뤄져서 대한민국 연구개발(R&D) 성과가 상용·산업화되고 생태계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만 G3(AI 글로벌 3대 강국)도 가능하다"며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사업화, 상용화가 안 되면 G3는 아주 불가한 이야기"라고 덧붙였다.
AI 인프라 확충 전략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을 묻는 질의에는 "가장 애타는 사람이 제가 아닐까 한다"며 심경을 밝혔다. 그는 "올해 GPU(그래픽처리장치)가 들어올 공산이 거의 없다. GPU 구매가 아주 시급한 시점"이라며 "추경이 빨리 진행돼서 올 한 해가, 1년이 비어 있는 시기가 안 됐으면 한다"고 했다.
이어 "대학과 연구소, 스타트업 기업들이 마음놓고 GPU를 사용해서 AI 시대에, AX(AI 전환) 부분에 많은 IP(지식재산권)를 확보하지 못하면 4년이 뒤쳐지는 꼴이 된다"며 "이렇게 되면 2030년까지 (글로벌 AI 선도국들을) 더 따라잡기 힘들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속한 시일 내 1차 추경 협의해야⋯주무부처, 부총리급 격상 필요"
정치권을 향해서도 제언했다. 유 장관은 "여야도 정쟁으로 생각하지 말고 국가의 미래를 생각해 조속한 시일 내 협의를 통해서 1차 추경(추가경쟁예산)이라도 추진해야 할 것"이라며 "정치적 상황이 연속되다 보는 상황 속 지역 경제도 어렵다. 이런 것들이 조속하게 해결되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학계 등 일각에서는 새 정부부처로 AI혁신부 등을 새롭게 출범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유 장관은 "AI 부분만 떼내서 무엇을 만든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단지 과기정통부가 AI와 AI와 결합된 바이오, 양자 3대 게임체인저를 이끌어나가는 주무부서인데 지금의 조직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라며 "3개 아젠다를 이끌어가는 부서는 향후 다음 정부에서는 부총리급으로 격상해야 한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라고 답변했다.
트럼프 2기 정부가 우리나라에 상호관세 25%를 부과한 데 대해서는 "맞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시민단체 등에서 들어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정부는 한 편만 볼 수 없다. 전체적인 관점에서 국익에 어떤 것이 도움이 되는지 면밀하게 대응해 협상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날 과기정통부는 4월 주요 추진계획으로 △범부처 기술사업화 비전 발표 △저궤도 위성통신 R&D 착수 △2025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추진 △AI+SMR(소형모듈원자로) 이니셔티브 수립 △AI기본법 하위법령 의견수렴 △ICT 규제샌드백스 신속처리 시행 등을 발표했다.
/안세준 기자(nocount-ju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