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최란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9일 "우리가 지금 인공지능(AI)을 열심히 해도 빨리하는 게 아니"라며 "우리는 이미 늦었다"고 말했다.
![최태원(왼쪽 두번째)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안덕근(왼쪽 세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관계자들이 9일 서울롯데호텔에 진행된 '대한민국 AI정책 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https://image.inews24.com/v1/45b1522f43f1f0.jpg)
최 회장은 이날 서울롯데호텔에서 열린 '대한민국 AI정책 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AI 경쟁에서 가장 힘든 문제가 엄청난 자원(리소스)이 들어가고 엄청난 에너지가 들어가는데 AI의 발달과 움직이는 스피드는 빠르다는 것"이라며 "그래서 에너지나 돈이 제대로 갖춰져 있는 국가들은 잘 갈 수 있고 그렇지 못한 나라들은 잘 가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도 AI 경기에서 뒤처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그렇게 되면 국가의 운명이 상당히 약화될 우려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가 자랑하던 수출품 등도 AI의 도움이 없으면 경쟁력 약화는 너무 뻔한 이야기가 된다"며 "아마 국가가 갖고 있던 경제 모델 자체가 전부 부서지는 문제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따라서 조금 더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집중시킬 필요성이 상당히 있다"며 "정부나 민간이 갖고 있던 많은 리소스 혹은 인재를 집중해서 대한민국이 잘할 수 있는 AI 분야에 대해 나름대로 개척해 나갈 새로운 전략들이 조금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 회장은 '3+3 이니셔티브' AI 전략을 언급했다. 지난 6일 대한상의는 AI 3대 국가(AI G3)로 도약하기 위해 3대 밸류체인(인프라·AI모델·AI전환)과 3대 투입요소(에너지·데이터·인재)의 정책 지원 요청을 골자로 하는 보고서를 낸 바 있다.
그는 "전략을 만들었지만 아직 정제된 개념은 아니"라며 "올 하반기에도 계속 토의를 이어가며 대한민국 AI 정책을 제대로 만들어 집행해 보면 어떨까 싶다. 정부와 민간에서 같이 협조를 해줘 이 일들을 같이 해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산업계와 학계, 정부가 협력해야한다는 목소리가 강조됐다.
![최태원(왼쪽 두번째)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안덕근(왼쪽 세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관계자들이 9일 서울롯데호텔에 진행된 '대한민국 AI정책 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https://image.inews24.com/v1/9512b9ac792f37.jpg)
염재호 태재대 총장 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은 "AI 생태계는 시장 원리에 의해 구현되어야 AI 인프라·AI 모델·AI 서비스 순으로 발전하고, 이에 늘어난 AI 수요가 다시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며 "AI 생태계가 원활히 순환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앞장서 데이터, 인재, 인프라 등의 자원을 확보하고 민간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과제들을 해결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 역시 정부가 수립한 국가 AI 전략과 정책들에 적극적으로 호응하고, 전반적인 AI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선의의 경쟁을 이어나가야 한다"며 "민관이 원팀으로 협력한다면 한국형 AI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민기 KAIST 경영전문대학원장은 "한국 AI 생태계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 전략자산인 AI 컴퓨팅 인프라의 확충과 함께 AI의 핵심 투입요소인 전력, 데이터, 인재에 대한 공급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며 "정부의 재정투입이 인프라에 대한 수요를 견인하고 핵심 투입요소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함으로써, 민간 투자를 유도하는 마중물 역할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권석준 성균관대학교 교수는 "제조 AI는 생산성 향상을 넘어 한국의 주요 산업 업그레이드를 위한 핵심 전략이 되어야 한다"며 "특히 산업-AI-에너지를 연계한다면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 성장동력 측면에서 중요한 전략적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맞춤형 데이터센터 운영, AI 바우처를 통한 AIX 수요창출, 메가 샌드박스 등 정부와 산업계가 협력하여 전방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종석 KAIST 교수는 "제조 현장에서 AI 도입을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오작동 시 책임 소재에 따른 현장의 거부감과 도입 시 경제성(ROI)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이라며 "AI 자율제조 시뮬레이션 시범공장 구축 등 해석 가능한 제조 특화 AI 및 신뢰성 확보 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과 함께, 제조 AI 특구 조성 및 바우처 제도 등을 통한 제조 AI 도입·확산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최 회장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지형 한국인공지능학회장, 최경진 한국인공지능법학회장 등 정부·기업·학계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으며 △한국형 AI 생태계 전략, 기업과 정부의 역할 △제조 AI를 통한 한국의 성공스토리 창출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 K-LLM 경쟁력 확보 방안 등을 주제로 논의가 진행됐다.
/최란 기자(ra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