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李 '형님 강제입원' vs 金 '119 통화' 소환⋯서로 "통합 자격 미달"[종합]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재명 "내란세력과 단일화 할 듯"⋯이준석 "본인만의 망상"
여야 연금 모수개혁 합의 치적에⋯이준석 "젊은세대만 손실"
김문수 "지역균형 100번 얘기해 봐야 헬기 타고 서울대병원"
권영국 "중처법이 악법인가⋯전장연 시위 지적엔 "장애인 혐오"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토론회 시작에 앞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 [사진=국회사진취재단]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토론회 시작에 앞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 [사진=국회사진취재단]

[아이뉴스24 김보선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 후보가 23일 열린 두 번째 TV 토론에서 공공의료·연금개혁·중대재해처벌법 등을 놓고 격돌했다.

특히 후보들은 이날 토론 주제인 '사회' 분야와 무관한 듯 보인 가정사나 과거 발언 논란을 '사회 갈등 극복과 통합 방안'과 엮어 서로를 '갈등 유발자'로 몰아가며 기선 제압에 나서, 초반부터 후끈 달아오른 스튜디오 열기가 종료 때까지 식지 않았다.

"가짜 사칭", "尹 옹호"…시작부터 기선제압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이날 토론회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사회' 분야를 주제로 열렸다.

1분 모두발언으로 첫 발언에 나선 이재명 후보는 이날이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6주기라는 점을 언급하며 "오로지 사람 사는 세상을 원했던 분이었다. 반칙과 특권 없는 세상을 원했지만 여전히 반칙과 특권이 횡행한다"며 "특히 계엄이라는 황당한 내란 사태에 전 국민이 놀라고 있다"고 말했다.

김문수 후보는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이라는 이 후보의 홍보 문구를 언급하며 "이렇게 말하는 분은 진짜 총각인가 가짜 총각인가. 진짜 검사인가 사칭인가. 거짓말을 계속하고 총각 사칭에 검사 사칭을 하면서 어떻게 진짜 대한민국을 말하느냐"며 초반부터 이 후보를 향한 공세를 시작했다.

권영국 후보는 "감옥에 있어야 할 윤석열이 부정선거 다큐를 즐기며 거리를 활보하는데 김문수 후보는 맞장구를 치니 정말 어이가 없다"면서 "이렇게 분열과 불의가 판치는 상황에서 사회 통합을 말할 수 있나"라고 지적했다.

이준석 후보는 노무현 전 대통령 정신을 언급하면서 "그분은 '바보 노무현'이라고 자신을 낮췄지 국민을 경멸하지 않았다. 자신의 사이비 '호텔 경제학'에 의문을 제기하는 국민을 바보라고 조롱하는 후보가 감히 노무현을 입에 올리는 세상"이라고 이재명 후보를 직격했다.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토론회 시작에 앞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 [사진=국회사진취재단]
23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중계방송을 시청하고 있다. 2025.5.23 [사진=연합뉴스]

가정사·발언 논란 소환⋯"통합 말 할 자격 없어"

후보들의 오래 전 발언이나 사생활 논란도 토론 테이블에서 소환됐다.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후보에게 "형님을 성남시장으로서 정신 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려하지 않았느냐. 가정도 통합을 못하는데 나라를 어떻게 통합하느냐"고 질문했다.

이 후보는 "집안의 내밀한 문제지만 제 소양과 수양의 부족으로 사과의 말씀을 다시 드린다"면서도, "김 후보가 그런 말을 할 자격은 없다"며 '나 김문수인데 119 통화' 논란을 끌어왔다.

이 후보는 사회 통합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소가 '내란 사태'라는 점에 비춰 이준석 후보에게 내란 세력과의 관계, 즉 김문수 후보와의 단일화 여부를 캐물었다.

이재명 후보가 "개인적으로는 단일화할 것 같다"고 하자, 이준석 후보는 "단 한 번의 예외 없이 단일화에 관심 없다고 했다. 본인의 망상 속에서 그것만이 두려운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에게는 "탄핵에 대체적으로 반대하는, 내란 수괴 비호 입장을 갖고 있는 것 같다"며 "내란 세력과 극우 세력을 비호하는 관계를 청산하지 못했다. 매우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토론회 시작에 앞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 [사진=국회사진취재단]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군 가산점제·중대재해처벌법·전장연 시위' 격돌

각종 사회 분야 정책을 놓고도 맞붙었다.

이재명 후보가 김 후보의 '군 가산점제 재도입' 공약과 관련해 "군 가산점제가 위헌 판결 난 건 아느냐"고 지적하자, 김 후보는 "위헌 판결은 지나치게 5%까지 가산점을 너무 많이 준다든지, 너무 좁은 범위로 해서 그렇게 됐는데, 저는 다른 방법으로 (하겠다)"고 답했다.

권영국 후보는 김 후보가 '중대재해처벌법'을 악법이라고 했다며 지적했다. 이에 김 후보는 "폐지하자는 게 아니라 지나치게 처벌 위주로 돼 있다는 것"이라며 "중대재해 예방을 우선으로 하고 처벌은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 지나치게 작은 중소기업도 무조건 처벌한다면 기업 할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권 후보는 '전장연 시위'의 문제점을 지적한 이준석 후보와도 격돌했다.

이 후보가 "사회 질서를 훼손하는 경우에도 민주당처럼 옹호할 것인가"라고 묻자, 권 후보는 "전장연 시위가 왜 발생했나. 동덕여대 학생 시위가 왜 발생했나를 먼저 물어야 하는데 결과에 따른 갈등 상황만 이야기한다"며 ""장애인 혐오"라고 했다.

이에 이 후보는 "혐오 낙인을 찍으려면 무엇을 잘못했는지 구체적으로 말해야 한다"며 "느낌적 느낌으로 단정 짓는 게 예전에 민주노동당이 정의당을 보고 '빨갱이'라고 한 것과 동일하다"고 받아쳤다.

공공의료 논쟁…"성남의료원 두고 왜 서울대병원 갔나"

의료 분야 토론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성남시장 시절 설립한 성남시의료원 등 공공의료에 대한 격론이 오갔다.

권 후보가 이준석 후보에게 "공공병원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평가했다"고 지적하자, 이 후보는 "성남시의료원도 (최근) 다녀왔지만 과연 어떤 형태로 동작할 것이냐 합리적 질문 던졌고 실제로 운영할 수 있을 환경이 마련되지 않았다고 지적한 것"이라며 "공공만 붙으면 좋은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에게 지난해 피습 사건 당시 '헬기 이송' 경위를 캐물으며 "왜 부산대병원에서 치료받지 않고 성남시의료원에도 가지 않고 서울대병원으로 갔느냐"고 하자, 이 후보는 "성남의료원에는 혈관 수술 인력이 없는 걸로 안다. 또 장기간 입원이 필요해 가족들이 가까이에서 케어하고 싶다고 했고 의료진도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하는 게 좋겠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 후보는 "지역 균형을 100번 얘기해도 이런 행동이 지역을 무시하는 게 된다"고 꼬집었다.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토론회 시작에 앞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 [사진=국회사진취재단]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연금개혁 성과" vs "젊은 세대 가만히 앉아 손실"

연금개혁을 놓고는 여야의 '모수개혁' 합의에 대한 평가가 엇갈렸다.

이재명 후보는 "모수개혁만이라도 한 것은 안 한 것보다 낫다. 성과"라고 강조했지만, 이준석 후보는 "이번 합의 과정에서 이득을 보고 손해를 보는 세대가 누구냐. 윗세대는 소득대체율을 올려 바로 받아 가고 내는 세대는 평생을 4% 인상된 금액을 더 낸다. 가만히 앉아 3000만원 이상의 손실을 떠안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후보는 또 김 후보에게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따른 대책을 물으면서 "지금 단계에서 이것을 도입하면 연금에 대한 신뢰가 깨질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자동조정장치는 국가가 상당한 책임을 지는 것으로 젊은 세대들의 불안을 해소할 가장 적극적인 정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모수개혁 합의와 관련해선 "2차 구조개혁을 즉시 착수하겠다. 청년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청년이 불리하지 않은 개혁을 하겠다"고 했다.

신연금과 구연금의 분리를 주장한 이준석 후보 공약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기존 연금 대상자에게 연금을 지급하려면 609조원이 필요하다. 그 돈을 누가 내나"라며 "연금개혁은 세대 간 연대가 기본인데 갈라치기를 하는 것은 정치인으로서 적절치 않다"고 했고, 이 후보는 "궤변"이라고 일축했다.

/김보선 기자(sonntag@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李 '형님 강제입원' vs 金 '119 통화' 소환⋯서로 "통합 자격 미달"[종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