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홍지희 기자] 비슷한 서민 금융 상품을 통합하고 민간 서민 금융과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구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5일 "서민금융 상품 수가 많아 운영상 효율성이 낮아 유사 상품을 통합해야 한다"며 "정책서민금융상품 성실 상환자가 민간 금융회사로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민간 금융회사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정책 서민 금융은 지원 대상, 재원, 취급 기관에 따라 세분화하고 있다. 상품 구분이 지나치게 복잡한 탓에 실제 수요자는 특성을 구분하기 힘들고,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찾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금융 실무자는 금융회사가 취급하는 상품 이외 다른 정책 금융 상품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면 고객에게 적합한 상품을 제공하기도 어렵다.
구 선임연구위원은 무엇보다 민간 금융과의 연계를 강화해 성실 상환자가 민간 금융회사를 이용하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햇살론·햇살론뱅크는 하나의 상품으로 통합해 은행, 저축은행, 상호금융에서 취급하도록 하고, 햇살론15·최저 신용자 특례 보증도 하나의 상품으로 통합해 단순화할 것으로 제안했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직접 심사해 공급하는 햇살론15 중 특례 보증과 서금원이 직접 심사해 협약 금융회사를 통해 공급하는 최저 신용자 특례 보증을 하나의 보증상품으로 통합하는 것이다.
구 선임연구위원은 서금원에서 신용평가시스템(CSS: Credit Scoring System)을 고도화해 자금수요자의 특성에 따라 지원 한도를 차별화해 획일적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나아가 햇살론과 햇살론뱅크 통합 상품의 경우 금리 상한만 설정하고 취급 금융회사에 자율성을 준다면 금리·한도 등이 고객의 특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차별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 연구위원은 햇살론, 햇살론뱅크 통합상품의 경우 은행에서는 민간 서민금융회사인 상호금융, 저축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용평점, 소득이 높은 고객에게 공급할 가능성이 높아 취급 금융회사별로 주 고객의 특성에 따라 금리, 한도를 차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