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권서아 기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차질 없이 완수하고 해양수산 관련 기관을 비롯한 주요 해운 기업까지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임명되면 북극항로라는 새 바닷길이 전 세계 경제 활동 변혁의 주동력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북극항로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14일 국민의힘 이만희 국회의원(왼쪽)이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오른쪽)를 상대로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질의하고 있다. [사진=국회 방송]](https://image.inews24.com/v1/be790e8e6345a3.jpg)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해수부를 연내에 이전하기 위해 정부나 국회에 건의할 내용이 있느냐"고 묻자, 전 후보자는 "일단은 예산 확보 문제랑 수산 분야가 소외될 우려가 상당히 크다"며 "정부조직법을 개편해서 복수차관제 도입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전 후보자는 "해양수산부가 단순히 부산으로 이전하는 것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가지고 있는 조선 해양플랜트 업무를 해수부로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해양정책과 산업정책이 같이 가지 않으면 해수부 이전에 시너지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청문회에선 해수부 장관 이전 논란과 내년 후보자의 부산시장 출마 가능성, 중국의 서해공정 등에 관련해 공방이 오갔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가 세종에 있는 것보다 부산에 갈 때 효과가 크다고 언급했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를 부산으로 이전한다고 해도 세종 행정 도시를 완성하는 데 역행하거나 국가 균형발전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다"며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그 효과를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이전해 해수부를 거점으로 북극항로 시대를 제대로 준비하고 선도한다면 부산으로 오는 것이 1000,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임호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속전속결로 처리하면서 해수부 직원들의 정주 여건에 대한 우려가 크다. 숙소 지원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 세세하게 준비를 하고 있냐"고 묻자, 전 후보자는 "정부 공기업이나 외청이 서울에서 세종시로 이전한 사례가 많다"고 답했다.
이어 "해수부 공직자의 정주 여건이나 교육 문제, 주택 문제를 최선을 다해서 챙겨보고 있다. 필요한 부분은 부산시 등과 실무협의를 통해서 이게 주택의 문제도 해소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해양수산부의 '복수차관제 도입'과 '국가 해양수산위원회 도입' 등 해수부의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복수차관제를 도입해야 하고, 국가 해양수산위원회 도입도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전 후보자는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자, 전 후보자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면 수산업 종사자들뿐 아니라 수산업계가 소외되는 것이 아니냐는 걱정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런 걱정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해수부에 전담 차관이 전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 서 의원이 "미국이나 일본, 중국도 이런 범부처 해양 정책을 통합하고 조정하는 해양위원회가 있다. 해양위원회 도입에 대해서 검토해 주길 바란다"고 묻자, 전 후보자는 "의원님 말씀을 유념해서 관계 부처와 잘 협의해 해양 수산 강국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겠다"고 답했다.
이는 기후 위기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수산 분야를 위해서 수산 정책을 전담하는 차관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 후보자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부산시장에 출마할 것이냐는 지적에 즉답을 피하면서 "지금 내년 부산시장 선거 출마를 생각할 겨를이 없다. 제가 장관이 된다면 해야 할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고 말했다.
/권서아 기자(seoahkwo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