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서울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 제1지구(성수1지구) 재개발사업이 본격 막을 올린다. 다음달 시공사 선정 입찰공고를 시작으로 올해 시공사 선정이 완료되며 속도를 낼 전망이다. 대형건설사들도 잇따라 입찰참가를 위한 시동을 걸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조합은 오는 8월 입찰공고를 낼 예정이다. 서울시 통합심의 기준에 맞춘 실현 가능한 설계를 중심으로 시공사 평가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성수전략정비구역은 성동구 성수동1가 일대 약 53만㎡ 규모 부지에 총 4개 지구, 55개 동, 9428가구 규모로 조성되는 초대형 정비사업이다. 이 중 성수1지구는 한강과 서울숲에 인접한 핵심 입지에 위치하며, 전체 면적 중 가장 넓어 ‘대장지구’로 꼽힌다. 지구단위계획상 이곳에는 총 3014가구 규모의 아파트와 복리시설, 최고 65층(250m 이하) 높이의 초고층 랜드마크 건축이 가능하다.

그동안 지연됐던 성수전략정비사업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발표 이후 35층 높이 규제가 완화되고 ‘비욘드 조닝(Beyond-zoning)’등 도시계획 개편이 예고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변 고밀 개발 구상이 부활하고, 올해 3월 성수1~4지구에 대한 정비계획 고시가 이뤄지면서 사업이 본격적으로 재가동됐다.
조합은 빠른 인허가를 위해 서울시의 통합심의 제도에 맞춘 실현 가능성이 높은 설계를 우선 기준으로 삼고 있다. 통합심의는 건축, 경관, 교통, 환경, 교육 등 개별 심의를 일괄 처리하는 제도로 평균 1년 이상의 인허가 기간 단축 효과가 있어 대규모 정비사업지에서 활용도가 높다. 성수1지구 조합은 지난 4월 총회를 통해 최고 65층 내외의 설계안을 가결했고, 서울시와의 협의를 반영한 스카이라인 계획을 중심으로 심의 준비를 진행 중이다.
시공사 입찰에는 현대건설, GS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등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들이 참여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정비사업에서는 일부 시공사들이 조합원 표심 확보를 위해 과도한 대안설계를 제안했다가, 이후 정비계획과 충돌해 통합심의에서 지연된 사례가 적지 않다. 이에 성수1지구 조합은 무리한 설계보다는 서울시 기준을 충족하는 현실적인 설계를 요구하고 있다.
대안설계는 정비계획에서 정한 건폐율, 용적률, 층수 등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비용 절감이나 공기 단축이 가능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조합 관계자는 "성수1지구는 서울 정비사업을 대표할 수 있는 상징적 사업지"라며 "무리한 청사진에 기대기보다는 서울시와 긴밀하게 협의해 인허가를 조기에 완료하고 조합원 이익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수1지구 사업이 본격화되자 시장 반응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인근 아파트는 지난해 말 전용 84㎡가 29억원에 거래된 이후 매물이 거의 사라진 상태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