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KAIST 차기 총장의 '윗선', 어디 있소?" [지금은 과학]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지난 3월 말 최종 후보 3인 선정, 이후 일정 ‘올스톱’

김정호, 이광형, 이용훈 KAIST 차기 총장 후보(왼쪽부터 가나다순). [사진=아이뉴스24DB]
김정호, 이광형, 이용훈 KAIST 차기 총장 후보(왼쪽부터 가나다순). [사진=아이뉴스24DB]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차기 총장 선임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인사 검증이 이뤄지고 있고 조만간 차기 총장 선임을 위한 임시 이사회가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KAIST 이사회는 지난 3월 정기 이사회를 개최하고 3명의 신임 총장 후보를 확정한 바 있다. 이후 선임 절차는 지금까지 ‘올스톱’ 됐다. 이른바 ‘윗선’의 낙점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지난 3월은 대통령 탄핵과 파면 선고 국면으로 국정이 마비된 상태였다.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이 4월 4일 헌법재판소에서 파면되면서 대통령 부재 상황에 빠졌다. KAIST 차기 총장 선임 건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멈춰 섰다.

현 이광형 총장의 임기는 지난 2월까지였다. 차기 총장 선임이 연기되면서 이광형 총장이 약 5개월 동안 총장직을 이어오고 있다.

그 사이 이재명정부가 출범했고 새로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임명된 만큼 빠르게 KAIST 총장 선임 건이 이뤄져야 할 것이란 목소리가 높다.

3명의 차기 총장 후보군에 오른 이들은 모두 KAIST와 인연이 깊은 인물들이다.

1961년생인 김정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KAIST 시스템아키텍트대학원 책임교수, 초세대협업연구실 책임교수 등을 맡고 있고 대통령직속 국가AI위원회 위원,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정책자문 등을 역임했다.

KAIST 교수협의회와 총장후보발굴위원회에서 동시 추천받은 인물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국정 공약 1호로 ‘AI 3대 강국’을 꼽은 만큼 AI와 반도체 전문가로 통하는 김정호 교수가 낙점받을 수 있을 것인지 눈여겨 볼 점이다. 실제 이 대통령은 대통령실 관련 수석과 과기정통부 신임 장관에 모두 기업 출신의 AI 전문가를 앉혔다.

1955년생인 이광형 현 총장은 연임에 도전한다. 이 총장은 도전과 실패를 응원하고 포용하는 ‘KAIST DNA’를 강조한 바 있다. 최근 3년 동안 KAIST 학사 지원자가 61%(연평균 증가율 26.9%), 외국인 대학원 지원자가 64.5%(연평균 증가율 28.2%) 급증하며 지속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 총장도 AI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이 총장은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국가의 생존과 직결되는 전략”임을 강조해 왔다. ‘100만 AI 인재 양성’, ‘AI 3강 체제 전략’ 등을 제시해 왔고 KAIST를 ‘AI 리더급 인재를 배출하는 엔진’으로 이끌겠다는 의지를 천명해 왔다.

1954년생인 이용훈 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은 이번에 KAIST 총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KAIST 내부에서는 이 후보를 두고 훌륭한 인품과 지식·경험을 갖춘 학자로 평가하고 있다.

KAIST는 새 정부가 출범하고 신임 과기정통부 장관이 임명되면서 총장 선임을 위한 임시 이사회 개최를 조만간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윗선’이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언제까지 KAIST 총장 등 기관장을 선출하는 데 있어 ‘윗선’의 낙점이 있어야 하는 것인지 안타깝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통령제에서 기관장이 권력의 입맛에 맞추는 것은 당연하다는 의견도 있다.

KAIST 한 관계자는 지난 3월 3명의 후보군이 확정되자 “4월 중에는 총장 선임을 위한 임시 이사회를 개최하고 곧바로 임명하는 절차를 밟아야 할 것”이라고 주문한 바 있다. ‘윗선’의 재가 없이 관련 절차에 따라 신속히 결정하면 된다는 거였다.

‘윗선’의 낙점이나 재가 없이도 총장 선임은 실제 가능하다. 현 시스템은 KAIST 이사회에서 투표를 통해 총장을 선임하고 교육부 장관의 동의와 과기정통부에 승인을 거쳐 임명할 수 있다.

김정호, 이광형, 이용훈 KAIST 차기 총장 후보(왼쪽부터 가나다순). [사진=아이뉴스24DB]
KAIST. [사진=KAIST]

절차상으로는 과기정통부 장관이 승인하면 임명되는데 그동안 ‘윗선’의 낙점을 기다렸다는 게 통상적이었고 누구나 ‘그래야 하나 보다’고 생각하고 있는 게 관례였다. 이 관례가 이재명정부에서도 재현되고 있는 셈이다.

이를 두고 과학계는 “윗선의 낙점을 위해 총장 후보들이 쓸데없는 곳(정치적 로비 등)에 힘을 쏟기도 한다”며 “과학이 정치에 매몰돼 있는 것과 무관치 않은데 앞으로 절차적 시스템에 따라 투명하게 선출하는 것도 생각해 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총장을 선출하는 데 있어 교내 교수와 학생,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어떤 비전과 교육 철학을 가졌는지를 설명하고 평가받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정작 학교의 주인공은 배제되고 ‘윗선’의 낙점만을 위한 정치력 낭비는 이젠 거두자는 의견이 적지 않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이나 과기정통부 장·차관 등 이른바 ‘윗선’이 개입하지 않는다고는 하는데 인사 검증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과기정통부가 관여하는 만큼 윗선의 의중이 배제될 수가 없는 구조”라며 “사실상 총장 선임은 절차상으로는 이사회의 몫인데 실제로는 대통령 등 윗선이 낙점해 결정하는 것에 다름 아니”라고 설명했다.

모든 공기업 기관장은 대통령실과 담당 중앙부처의 인사 검증 과정을 거친다. 이 시스템이 사실상 ‘옥상옥’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사회 의결이나 관련 소속 조직원들의 의견과 평가보다는 ‘윗선’의 낙점이 우선되는 배경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조만간 KAIST가 총장 선임 건을 위한 이사회를 개최하고 이후 절차에 따라 임명되지 않겠느냐”며 “이른바 ‘윗선’의 낙점이나 재가는 신임 총장을 선출하는 절차상에는 없다”고 말했다.

지난 3월 총장 후보 3명을 확정해 놓고 지금까지 더 이상 선임 절차가 중단된 것에 대해서는 인사 검증 절차와 KAIST 이사회의 몫이라는 말로 설명을 대신했다.

KAIST 총장 선임 절차

1. 후보 발굴: KAIST 총장후보발굴위원회(총발위)와 교수협의회 산하 총장후보추천위원회(총추위)에서 자체적으로 후보를 발굴한다. 교수 등 학내외 인사들의 자천과 외부 공모도 가능하다.

2. 후보 선임: 총장후보선임위원회에서 발굴된 후보자들 중 3배수의 최종 총장 후보자를 선정한다. KAIST 이사회에 추천한다.

3. 인사 검증: 최종 3배수로 압축된 후보자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통령실 등의 협의를 통한 인사 검증 절차를 거친다.

3. 이사회 추천: 인사 검증을 통과한 후보자 중 KAIST 이사회가 표결을 통해 최종 1인의 총장 후보를 선정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에게 추천한다.

4. 최종 승인: KAIST 이사회가 추천한 후보에 대해 교육부 장관의 동의를 얻은 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최종 승인한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KAIST 차기 총장의 '윗선', 어디 있소?" [지금은 과학]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