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AI 도약, 첫 단추는 데이터센터…배경훈 "전력·GPU·제도개선 전방위 지원"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첫 AI 현장 행보로 네이버 '각 세종' 방문
‘AI 고속도로 구축’과 AI 생태계 활성화 위한 민·관·학 간담회 개최

[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는 전기와 물, 토지, GPU까지 막대한 자원이 집약되는 기반 산업입니다. 국가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인허가 간소화, 인식 개선, GPU 확보 등 종합적인 지원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습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4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네이버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 열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현장간담회'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4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네이버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 열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현장간담회'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4일 네이버클라우드 ‘각 세종’ 데이터센터를 찾아 AI 생태계 조성에 대한 정부 의지를 재확인했다. 취임 후 첫 AI 현장 행보로 데이터센터를 선택한 그는 "데이터센터가 성과를 내지 못하면 한국 AI 생태계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며 "AI 데이터센터의 성공이 곧 한국의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배 장관은 이날 데이터센터 시설 현황을 직접 둘러본 후 주요 기업, 협회, 학계 관계자 등과 현장 간담회를 가졌다. 그는 정부 차원의 규제 해소, 자원 공급, 정책 연계 등을 약속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4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네이버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 열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현장간담회'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왼쪽부터) 이경무 서울대 교수,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윤규 NIPA 원장, 김경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이 24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네이버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방문해 센터를 시찰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력은 부족하고 인허가는 늦고…현장선 '골든타임' 우려

현장에서 업계는 한 목소리로 "시간이 없다"고 말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AI가 국가 산업을 견인할 새로운 수출 품목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보인다”며 “단일 기업의 경쟁이 아니라 한국 기술의 규모와 깊이를 키우기 위한 융합의 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준희 삼성SDS 사장은 “국내 데이터센터 경쟁력은 결국 전방 기업의 국제 경쟁력과 연결된다”며 “데이터센터에 걸맞은 건축·운영 규정을 새로 정비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전력 문제가 가장 시급한 장애 요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하민용 SKT AI DC 사업부장(부사장)은 "AI 전환에 필요한 전력 수요는 급증하고 있지만, 신재생 중심의 전력 생산지는 수도권에서 멀다”며 “전력구매계약(PPA)을 한시적으로라도 허용해야 지역 분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는 "상업용 데이터센터만 25년째 운영해온 입장에서, 지금의 인허가 구조로는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며 "정부가 어느 정도 용량과 형태의 센터가 필요한지 먼저 설계하고, 민간이 따라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건축물에 비유하면 지금은 설계도 없이 토목 공사부터 시작하는 상황”이라며 “고밀도 GPU 수용 설계를 하려면 물·전기·냉각 환경에 맞춘 유연한 기준이 필요하지만, 현재는 설계 변경 때마다 규제에 막혀 있어 AI 인프라 수요를 따라잡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GPU 클러스터를 돌릴 수 있는 대규모 DC를 지으려면 전력계통영향평가 등으로 최소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며 “정부가 토지·전력을 확보하고 민간에 장기 임차 형태로 제공하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김세웅 카카오 부사장은 "데이터센터를 하나 지으려면 민원과 규제가 여전히 만만치 않다"며 "AI 인프라에도 세제 혜택과 민관 협력 모델이 시급하다. 정부 주도의 인프라 전략과 민간 참여 방식을 병행할 수 있는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법은 낡고 절차는 복잡…'AI SOC' 위한 대전환 필요

강중협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장은 현장의 현실적인 규제 문제를 짚었다. 그는 "데이터센터 산업은 이미 10조 원 규모에 달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법제도는 여전히 낙후돼 있다”며 "전력계통영향평가 같은 핵심 제도는 1년이 넘도록 시행 고시조차 나오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방 이전이 불가피한 AI 데이터센터의 특성상, 재생에너지 전력 수급과 인허가 주체의 불명확성 문제를 함께 해결할 컨트롤타워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박윤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은 "AI 컴퓨팅 인프라는 더 이상 민간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전략적 사회간접자본(SOC) 같다"며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정부와 국회가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공공 부문이 먼저 수요를 창출해야 민간 생태계도 활성화될 수 있다. GPU·전력·데이터 등 자원을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AI 고속도로’를 만드는 데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배 장관은 "“AI 데이터센터는 단순한 설비가 아니라 한국 AI 산업의 운명을 좌우할 출발점”이라며, “GPU 확보부터 인허가 간소화, 민원 대응까지 정부가 할 수 있는 역할은 민간과 최대한 협의해 풀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규제를 풀되, 기업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실패를 용인하는 유연한 생태계로 바꾸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이준희 삼성SDS 사장 △하민용 SKT 부사장 △김세웅 카카오 부사장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 △박성율 LG유플러스 혁신그룹장 등 기업 관계자와 △강중협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KDCC) 회장 △박윤규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 △이경무 서울대 교수 △류석영 KAIST 교수 등 다양한 분야의 AI 전문가가 참석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4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네이버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 열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현장간담회'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4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네이버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 열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현장간담회' 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윤소진 기자(sojin@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AI 도약, 첫 단추는 데이터센터…배경훈 "전력·GPU·제도개선 전방위 지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