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권서아 기자]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고위험 업종에서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산재 예방 쪽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차관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생중계로 진행된 국무회의에서 "산업 AI 기반제조 안전 시스템 개발을 올해부터 오는 2029년까지 한다"며 "고위험 업종 포함 10개 업종에 대한 안전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고, 10개 업종의 기업들이 이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약 1시간 20분 동안 중대재해처벌법(중처법) 등과 관련해 국무위원들과 심층 토의를 했다. 토의 과정이 국민에게 실시간으로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https://image.inews24.com/v1/38c8660de06b59.jpg)
문 차관은 "산재 사망자 수는 제조업 분야에서 30%를 차지한다"며 "세부 업종별로 보면 열처리나 주단조와 같은 뿌리 산업이 제일 많이 나타나고 그 다음은 석유화학, 자동차 부품을 통한 자동차 분야, 기계산업 순"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산업단지내 고위험 지역에 대한 IT 인프라 활용 예방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다"며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누출 감지 설루션이나 위험 지역에 대한 사족보행 로봇 투입, 드론을 통한 산재 예방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마지막으로 안전 환경 구축이 산업계 축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중소 조선사나 산업 단지 내의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안전 컨설팅과 안전 디자인을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사진=산업통상자원부]](https://image.inews24.com/v1/fda421f03de8ad.jpg)
이 대통령은 "산업부에 특별히 요청하고 싶다"며 "대한민국의 주요 기업들을 담당하는 만큼 기업들도 엉터리로 산업재해를 관리하면 더 많은 지출을 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산업재해에 대한 단속 강화 이야기하면 기업들이 서운해하겠지만, 정부도 기술 개발이나 시장 개척, 새로운 사업 개발을 도울 테니 기업들도 노동자를 쥐어짜서 돈을 벌기보다는 산재사고에 대한 인식을 바꿔달라"고 말했다.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이와 관련해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이 생존과 성장의 갈림길에 놓여있는 상황"이라며 "산업과 기업의 시작점에 있던 중기부의 정책들은 거의 모든 부처와 관계돼 있기 때문에 자주 찾아뵙고 말씀 많이 듣고 협조 요청드리겠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