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홍성효 기자] 서울시가 전기 이륜차 구매지원 대상을 확대한다고 11일 밝혔다.
![배달 오토바이. 기사와 무관.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https://image.inews24.com/v1/5d77b93f63d315.jpg)
상반기에는 배달용 전기 이륜차 구매보조금을 기존 10%에서 30%로 확대하고 배터리 교환형(공유형) 전기 이륜차에 대해서도 30%를 추가 지원했다. 하반기에는 여기에 더해 전통·도매시장 상인과 산업단지 입주 업체가 전기 이륜차를 신규 구매할 경우 20만원을 추가 지급한다.
현재 개인·법인이 전기 이륜차를 신규로 구매하면 성능과 종류에 따라 △경형 140만원 △소형 230만원 △중형 270만원 △대형 300만원 △기타형 27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번 추가지원금은 ‘소형’과 ‘기타형’ 차종에 한해 지급된다.
대상은 서울디지털(구로구), 마곡(강서구), 온수(구로구) 산업단지와 가락·강서·양재동양곡·노량진수산 도매시장, 등록 인증 점포 100개 이상인 서울 시내 전통시장 104곳이다. 지원을 받으려면 입주 계약 확인서나 상인회 입점 확인서 등을 제출해야 한다.
하반기에도 배달업 종사자와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구매보조금의 최대 30%(시비)를 유지하며 국비 10%까지 포함하면 약 40%를 지원받게 된다.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에 대한 30% 추가 지원도 계속되며 중복 지원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달업 종사자가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를 구매하면 구매보조금과 배달업 지원(시비 30%·국비 10%), 배터리 교환형 지원(시비 30%)까지 받을 수 있다.
영세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에는 구매보조금의 20%를 추가 지원한다. 또 시는 전기 이륜차 제조·수입사와 협업해 차량가를 50만 원 할인해주는 ‘가격할인제’를 계속 운영한다. 해당 모델 구매 시 배달용·소상공인은 최대 15만원, 일반용은 최대 10만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참여 제조사는 현재 7곳(대동모빌리티, 더좋은사람, 블루샤크코리아, 와코, 젠트로피, 이누리, KR모터스)이며 배달업 종사자를 위해 배달통·슬라이드 짐대 등 배달용품을 무상 설치한다.
하반기 보조금 신청은 오는 13일부터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에서 접수한다. 신청 대상은 접수일 기준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하거나 주사무소를 둔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공공기관 등이다. 구매 계약 후 2개월 내 출고 가능한 차량만 신청할 수 있으며 개인은 2년 내 1대만 가능하다. 개인사업자·법인·단체는 신청 대수 제한이 없지만 5대 이상 구매 시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보조금은 출고·등록 순으로 지급되며 시가 구매자 대신 제작·수입사에 직접 지급하는 방식이다.
박태원 서울시 친환경차량과장은 “이번 하반기 보급계획은 배달업계와 소상공인 외에 도매·전통시장, 산업단지 등 생활밀접형 수요층에게도 지원을 넓힌 게 특징”이라며 “조용하고 깨끗한 도심을 위한 전기이륜차 전환에 많은 시민의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