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송대성 기자] 김기원 한국맥도날드 대표가 주문 120초 내 음식 제공을 목표로 한 'R2P'(Receipt to Present) 시스템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직원들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글로벌 본사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30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태선 의원은 "조리 시간이 지연되면 매장 화면에 경고 색상이 표시되고, 그에 따라 직원들이 압박을 받는다"며 "R2P 시스템이 현장 노동자에게 트라우마를 유발하고 산업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30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고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김기원 한국맥도날드 대표이사가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c528bfbca7b77f.jpg)
이에 김 대표는 "R2P는 전 세계 맥도날드가 적용하는 공통 가이드라인으로 고객 만족을 위한 품질 관리 체계”라며 “규정을 어겨도 별도의 페널티를 부과하지 않고, 인센티브 산정 기준에도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국회에서 제기된 문제의식을 이해한다. 회사로 돌아가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맥도날드의 R2P 시스템은 고객 주문 후 120초 이내에 제품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운영 지표다. 매장 내 조리 모니터는 경과 시간에 따라 파란색·노란색·빨간색으로 변하며, 일부 매장에서는 이 과정이 ‘압박 도구’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김 의원은 "시간 압박으로 인해 직원들이 실수하거나 화상 등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사례도 있다"며 시스템 폐지를 요구했지만, 맥도날드 측은 "운영 효율을 위한 참고 지표일 뿐 강제 규정은 아니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김 대표는 지난 6월 서울 숭실대 인근 매장에서 발생한 40대 배달 직원 사망 사건과 관련해 "본사 차원에서 적극 대응하려 했지만 부족한 부분이 있었던 것 같다"며 "유가족에게 깊은 애도를 표하고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