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수 국민의힘 사무총장이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문수 대통령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의 단일화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https://image.inews24.com/v1/26330895e0aae1.jpg)
[아이뉴스24 유범열 기자]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의 단일화 문제를 두고 벌어진 국민의힘과 김문수 대선 후보 간 갈등이 '진실공방'으로 까지 번지는 모양새다. 김 후보는 당 지도부가 지난 3일 전당대회 직후 자신에게 단일화를 압박했다고 주장했고, 이양수 사무총장은 이를 전면 부인하며 구체적인 만남 상황을 공개했다.
이 사무총장은 9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같은 날 열린 의원총회에서 김 후보의 주장들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전대 직후 저희 3인(권영세·권성동·이양수)이 후보실(캠프)에서 김 후보를 만난 건 사실"이라며 "가기 전부터 단일화 얘기는 절대 하지 말고 덕담만 하자고 갔고, 실제로 축하 인사하고 커피 한 잔 하고 올 생각이었는데 당시 김재원 후보 비서실장이 '결심사항'이라고 쓰인 종이 한 장을 후보께 갖다드렸다"며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거기(결심사항) 맨 위에는 선거대책위원장으로 한동훈 등 같이 경선을 치른 후보들이 쭉 나열돼있었다"며 "이걸 권 비대위원장이 '인원이 많으니 2차 경선에 참여한 4명만 하고, 황우여 선거관리위원장이나 원로 분들을 해서 (선대위를 구성)하는 게 어떻냐'고 물었다"고 했다.
그는 "그런데 (김 후보가) '아닙니다. 그냥 하셔야 한다'고 해서, 저와 권 비대위원장, 권 원내대표가 '네 알겠습니다'라고 했다"며 "선대위원장 명단에 대해서는 이후 (지도부가) 비대위를 통해 이미 구성을 했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김 후보에게 단일화를 압박한 사실이 없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김 후보가 의총에서 주장한 '사무총장 교체 거부'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 사무총장은 "그날(3일 저녁) 후보께서 사무총장 교체를 말씀하셔서, 저는 다시 돌아와 사무총장실 집기와 소지품을 정리해 모든 물건을 다 뺐다"며 "다음날 아침 9시 30분에 실국장회의를 사무총장실에서 소집해, 직원들에게 '앞으로 장 의원이 오니 손발을 잘 맞춰 선거를 잘 치르길 바란다'고 하고 그만뒀다"고 말했다.
이어 "근데 장 의원이 일하는 줄 알았더니, 다음날 권 비대위원장이 내게 전화가 와 '장 의원이 사무총장을 하기 어렵다고 했다. 사무처가 계속 돌아가야 하니 당분간 좀 와서 사무총장을 맡아줬으면 좋겠다'고 했다"며 "임시적으로 제가 와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지금까지 근무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사무총장은 그 외에도 △당사 후보실 미배정 △후보 교체를 위한 당헌당규 개정 목적의 전당대회·전국위원회 소집 △대선 후보 지원 거부 △당 지도부의 한덕수 후보 지원 등 김 후보가 의총에서 제기한 문제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며, 전혀 당에서 논의나 조치가 이뤄진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가 전날 양자 토론을 거부한 가운데,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까지 당원과 국민을 대상으로 후보 선호도 조사를 실시했다. 11일 이전 단일화에 응하지 않겠다는 김 후보의 의사가 확실해진 만큼, 당은 여론조사를 근거로 전국위를 소집해 후보 교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미 당은 11일 전국위 일정을 이미 공지한 상태다.
이 사무총장은 "오늘 진행되는 여론조사는 경선 로드맵이고, 이것을 가지고 후보를 끌어내리겠다고 단 한 번도 회의하거나 의결한 적은 없다"면서도 "만약 오늘 의원총회나 비대위에서 의견이 모아진다면 그렇게 할 가능성은 있다"고 밝혔다. 당은 오는 11일 전국위를 이미 소집해놓은 상태다.
단 김 후보가 제기한 후보자 지위 인정 가처분 신청과, 김 후보를 지지하는 원외 당협위원장들이 낸 전국위·전당대회 개최 중단 가처분 신청 결과에 따라 해당 절차는 개시되지 못할 수 있다. 서울남부지법은 이르면 이날 오후 이에 대해 결론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이 사무총장은 "가처분 신청이 만약 인용되면 전국위를 열지 못하는 것이고, 그러기 때문에 김 후보로 쭉 가는 것"이라고 했다. 당 일각에선 권 비대위원장이 김 후보 공천장에 날인하지 않고 사실상 '대선 무공천'에 나서는 방안도 거론되나, 이 사무총장은 "아직까지 검토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