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3만원에 샀는데 실은 '290억원'짜리라고?"…진품으로 밝혀진 '이것'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아이뉴스24 신수정 기자] 80년 전에 하버드대 로스쿨이 27달러(약 3만원)에 산 '마그나카르타(magna carta·대헌장)' 가품이 뒤늦게 진품인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도서관이 약 80년 전 단돈 27달러에 들여온 '마그나카르타(magna carta·대헌장)' 가품이 사실은 725년 전 영국 왕이 서명한 진품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마그나카르타. [사진=하버드 로스쿨]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도서관이 약 80년 전 단돈 27달러에 들여온 '마그나카르타(magna carta·대헌장)' 가품이 사실은 725년 전 영국 왕이 서명한 진품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마그나카르타. [사진=하버드 로스쿨]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은 지난 15일(현지시간) 하버드대 로스쿨 소장본이 1300년 영국 에드워드 왕이 서명한 진품 마그나카르타 7개 중 하나라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마그나카르타는 왕도 법을 따라야 한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역사적인 문서로, 근대 민주주의 헌법의 토대가 됐다.

이 사실은 영국 교수들이 우연히 해당 헌장을 발견하면서 밝혀졌다. 데이비드 카펜터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 교수, 니컬러스 빈센트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 교수는 지난해 하버드대 도서관 홈페이지의 소장품 도록에서 발견한 소장품 'HLS MS 172'의 디지털 사진을 보고 진품 가능성을 알아봤다.

도록에서는 이 소장품을 사본으로 설명했는데 "(마그나카르타의) 1327년 사본. 다소 번지고 습기로 얼룩"이라는 식이다.

카펜터 교수는 디지털 사진을 처음 봤을 때를 회상하며 "'세상에나, 이건 에드워드 1세가 확인한 원본처럼 생겼다!'고 생각했다. 물론 겉모습에 속을 수도 있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에 전했다.

소장품 보존 상태가 좋지는 않았지만, 1년간의 연구 끝에 결국 진품임이 증명됐다. 문건 내용과 더불어 자외선 촬영, 분광 이미징 등의 기법을 활용한 분석 결과, 하버드대 소장본은 1300년의 다른 진본과 동일한 크기에 동일한 내용, 어휘와 어순이 쓰인 사실이 확인됐다. 특히 서명 첫 글자인 E뿐 아니라 D까지 대문자로 쓰는 에드워드 왕의 독특한 서명 방식도 다른 진본과 일치했다.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도서관이 약 80년 전 단돈 27달러에 들여온 '마그나카르타(magna carta·대헌장)' 가품이 사실은 725년 전 영국 왕이 서명한 진품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마그나카르타. [사진=하버드 로스쿨]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도서관이 약 80년 전 단돈 27달러에 들여온 '마그나카르타(magna carta·대헌장)' 가품이 사실은 725년 전 영국 왕이 서명한 진품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마그나카르타. [사진=하버드 로스쿨]

이번에 발견된 판본은 오랜 세월을 거치며 다양한 가문에서 소장하다가 1945년 '메이너드 가문'의 한 후손이 소더비 경매를 통해 런던의 한 서점 운영사에 매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버드대 로스쿨은 정확하게 해당 판본을 사게 된 계기를 밝히진 않았지만, 27달러에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빈센트 교수는 "숫자로 거론하기는 조심스럽지만 1297년 마그나카르타는 2007년 뉴욕의 한 경매에서 2100만달러(약 294억원)에 팔렸다"고 가치에 대해 귀띔하기도 했다.

/신수정 기자(soojungsin@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3만원에 샀는데 실은 '290억원'짜리라고?"…진품으로 밝혀진 '이것'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