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5·18 민주화운동 전날⋯호남 찾은 이재명·김문수 후보(종합)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이재명,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 참배⋯5·18 전야제 참석
김문수, 민주묘지 참배로 호남 일정 시작⋯5·18 전야제는 불참

[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5·18 민주화운동 제45주년 기념일을 하루 앞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후보가 일제히 호남을 찾았다. 양 후보는 호남 정신, 자신의 민주화운동 이력 등을 각각 내세우며 호남권 표심 잡기에 나섰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광역시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장에서 열린 집중 유세에서 광주 시민 대표들과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광역시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장에서 열린 집중 유세에서 광주 시민 대표들과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이순신 장군이 약무호남 시무국가라고 했다"

이 후보는 이날 나주에서 유세하며 광주 정신을 강조했다. 그는 "여러분이 이 나라를 지키고 있다. 이순신 장군이 약무호남 시무국가(若無湖南 是無國家: 호남이 없으면 나라도 없다)라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길고 긴 참혹한 군사 정권도 수백 명이 억울하게 죽어갔지만 결국 5·18 민주화운동으로 끝장냈다"며 "촛불 혁명에 이어 빛의 혁명으로 이 폭력적이고 시대착오적인 정권을 끝장낸 것도 결국 호남 정신"이라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이후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했다. 이 후보는 방명록에 '5월 광주 정신으로 빛의 혁명을 완수겠다'고 기재했다.

이 후보는 이어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장을 방문했다. 이 후보는 "광주 학살의 참상은 판·검사가 돼 잘 먹고 잘살며 떵떵거리자고 마음먹은 저 같은 사람이 생각을 고쳐먹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세상을 위해 살아야겠다고 마음먹게 해 다시 탄생하게 했다"고 했다.

광주 조선대학교에서 열린 E-스포츠 산업 현장 간담회도 찾았다. 이 후보는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자진 탈당한 데 대해 "(국민의힘) 지도부가 제명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의 승리를 바라면서 잠깐 나가 있겠다고 얘기하는 건데, 그럴 거면 뭐 하러 탈당했느냐"며 "90일 전쯤, 진심에 의한 게 아니라 결국 정치 전술상 그런(탈당) 태도를 100일 안에 보일 거라고 예상했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홍준표 전 대구시장을 선대위에 합류시키기 위해 '하와이 특사단'을 꾸린 것에 대해서는 "아마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보수적 가치를 헌신짝처럼 팽개쳤기 때문에 합리적 보수 인사들을 다시 담을 수 있겠느냐는 점에서 '지금 그런 마인드와 태도로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후보는 이날 저녁 5·18 기념식 전야제에 참석한다. 다만 안전상의 이유로 행진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이 후보는 18일 본 기념식에도 참석하며 3박 4일간의 호남 일정을 마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광역시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장에서 열린 집중 유세에서 광주 시민 대표들과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운데)가 1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현장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호남 찾은 김문수⋯"5월 생각하면 늘 너무 아픈 추억"

김 후보도 17일 호남 일대를 찾아 지지를 호소했다. 대선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된 이후 김 후보가 호남을 찾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후보는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며 호남 일정을 시작했다. 김 후보는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기재한 뒤 참배와 헌화를 했다.

이어 5·18 당시 시민군 대변인으로 활동한 윤상원 열사와 당시 전남대 총학생회장인 박관현 열사 묘를 찾아 참배했다. 박 열사는 1982년 50일간 단식투쟁을 하다 숨졌다. 김 후보는 5년 뒤인 1988년 박 열사가 숨진 독방에서 수감생활을 했다.

김 후보는 자신의 민주화운동 이력을 부각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광주교도소에서 박관현 열사가 죽은 뒤 제가 들어가서 그 방에서 1년 생활했다"며 "5월을 생각하면 늘 너무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광주·전북·전남 현장 회의에선 "제 아내는 전남 순천 사람"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처가에 올 때마다 광주·전남에서 저를 알면서도 아무도 인사도, 악수도 안 하는 냉랭한 분위기를 잘 안다. 광주의 민심, 전남의 민심이 뭔지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전주 한옥마을 거리 유세에 이어 전북개인택시조합과도 간담회를 진행했다. 조합으로부터 정책 건의서를 전달받은 김 후보는 "보조금, 대폐차 비용 국비 지원은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겠다"며 "제가 대통령이 되면 택시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전북 김제 새만금 개발 현장 방문을 끝으로 현장 일정을 마쳤다. 김 후보는 이날 저녁과 18일에 각각 열리는 5·18 민주화운동 전야제와 기념식에는 불참한다.

/안세준 기자(nocount-jun@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5·18 민주화운동 전날⋯호남 찾은 이재명·김문수 후보(종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