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효진 기자] 어린이날이나 현충일, 한글날을 월요일로 고정하는 '요일제 공휴일 제도'를 도입할 경우 소비 진작 효과가 발생하고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정부 연구 용역 결과가 나왔다.
![이미지는 기사와 무관. [사진=픽사베이]](https://image.inews24.com/v1/bc8dd1dc6f6c6a.jpg)
17일 관계 당국에 따르면 한국인사행정학회는 기획재정부가 발주한 '요일제 공휴일 도입 등 휴일제 개선 방안'을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연구했다.
요일제 공휴일이란 '5월 5일 어린이날' 등 특정일이 아니라 매년 5월 첫째 주 월요일 등 요일을 지정해 쉬는 방식을 말한다.
미국은 '월요일 공휴일 법', 일본은 '해피 먼데이' 제도를 운용해 여러 공휴일을 월요일로 지정하고 있다.
연구 보고서는 월요일 공휴일이 제도로 지정되면 가계 소비 증가와 관광 산업 활성화를 통해 내수 진작 효과가 있을 것으로 봤다.
이 보고서는 "연속된 휴일은 국내 여행 수요를 촉진하고 이에 따른 숙박·외식·교통·문화 소비 확대는 연관산업으로 경제적 파급효과를 유발해 고용 창출과 소득 증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에 기여할 수 있다"고 했다.
주말과 공휴일을 연달아 사흘간 '황금연휴'로 보내면서 여행 등 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는 뜻이다.
월요일 공휴일 변경에 따른 소비 지출액은 하루 약 2조1039억원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또 생산유발액 3조7954억원, 부가가치유발액 약 1조6957억원, 고용유발인원 8416명 등의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했다.
기재부는 지난해 7월 '역동경제 로드맵'을 발표하며 요일제 공휴일 구상을 처음 발표했다. 대체공휴일을 확대하거나 요일제 공휴일을 도입해 충분한 휴식을 보장하고 일과 생활의 균형을 찾겠다는 취지였다.
다만 이후 비상계엄과 정권 교체로 추진 동력이 사라진 만큼, 향후 도입될지는 미지수다. 기재부 관계자는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인사혁신처 등 소관 부처에서 추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