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윤지혜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됐다.
15일(현지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이틀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0.75∼1.00%로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12월 금리 인상 후 석 달 만이다.
연준은 성명에서 "고용시장이 강세를 유지하고 있는 데다 경제활동도 완만한 속도로 확장하고 있다"며 "위원회는 고용시장 상황과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고려해 연방 기금 금리 목표 범위를 높이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미 경제에 대한 연준의 자신감이 한층 커진 셈이다.
올해는 2번의 추가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를 모아 점으로 찍은 점도표에 따르면 17명의 연준 위원 중 9명이 올해 세 차례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FOMC 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경제가 지속적으로 개선된다면, 기준금리가 장기적 중립목표인 3% 수준에 이를 때까지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금리 인상 결정을 너무 늦추면 향후 급작스런 금리 인상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점진적'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말 그대로 점진적"이라며 즉답을 피했으나 "3~4개월에 한 번씩 금리를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짧게 만났으며 스티브 므누신 재무 장관과도 두 번 정도 만났으나 무엇을 논의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그는 신 행정부의 재정정책에 대해 "연준이 세부적으로 논의하지 않았으나 (미 정부의) 재정정책 변화에 따라 경제 전망이 달라질 수 있다"며 "백악관과 공화당이 추진하는 세금 정책 및 규제가 미국 달러화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직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본격적인 양적긴축 아냐…국내 증시 영향 제한적"
증권가에서는 이번 금리 인상이 달러 강세를 유발해 세계 증시의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한진 KTB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금융위기 이후 제로금리 상황에서 시장금리 상승은 악재가 아니었으나, 지난 2015년 말 첫 금리 인상 당시 미국 증시는 고점 대비 13% 하락하는 등 선제적으로 약세 반응했다"며 "미 금리 인상은 달러를 강세로 이끌어 2015년 상황처럼 증시에 부담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더욱이 조기 금리 인상에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글로벌 실물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 애널리스트는 금리 상승이 증시에 충격을 주지 않으려면 증시 밸류에이션 부담을 극복할 만큼의 기업 이익과 경기 회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반면, 미 금리 인상이 국내 주식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3월 금리 인상이 사실상 확정됐던 데다, 연준이 본격적인 양적긴축(QT)를 시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소재용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최근 미국 물가 상승과 고용호조에 더해 옐런 의장의 발언 등으로 3월 금리 인상은 기정사실화 됐고 시장도 이를 선반영 했다"며 "연준의 추가 통화 긴축 시그널이 없었던 만큼 변동성 위험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했다.
박형중 대신증권 애널리스트 역시 "그동안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선반영된 만큼 (이번 금리 인상이) 금융시장을 흔들 만한 악재는 되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올해 금리 인상이 반드시 세 번에 그칠 것으로 확신하기는 어려운 데다, 연준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축소 논의가 활발해지며 양적축소 시기 역시 앞당겨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성현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연준이 완연한 금리 인상 사이클에 접어들었으나 지나치게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1980년대 이후 이어진 5번의 금리 인상 사이클을 살펴보면, 첫 금리 인상 후에는 평균적으로 주식시장이 하락했지만 주가 인상 이벤트에는 시장이 주로 상승했다"며 "시간이 갈수록 주식시장이 정책 변화에 적응하면서 정책 금리 상승을 이끄는 기초체력(펀더멘털) 회복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