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통신돋보기] 아이폰 쇼크, 국내 이통판을 뒤엎다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눈에 살펴보는 이동통신 연대기 ⑥

[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아이폰 쇼크'

SK텔레콤과 KTF(현 KT)가 비동기식 WCDMA 전국망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3세대통신(3G)에 나선 2007년은 애플 '아이폰'이 첫 공개된 때이기도 하다.

"터치 컨트롤의 와이드스크린 아이팟, 혁명적인 휴대폰이며, 획기적인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기기."

故 스티브 잡스 애플 전 CEO가 2007년 1월 9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맥월드 2007에서 첫 '아이폰'을 공개하며 소개한 발언이다.

아이폰은 단순히 새로운 기기의 출현은 아니었다. 임베디드된 CPU와 운영체제(OS)가 독립돼 보다 탁월한 성능을 지원하고, 더 빨라진 네트워크 속도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됐다.

정전식 멀티터치 지원은 사용자 경험(UX)을 완전히 뒤바꿔 놨다. 이를 통해 콘텐츠가 망라된 앱스토어에서 다양한 앱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몰리면서 앱 시장도 한층 더 활발해졌다. 말 그대로 손안의 컴퓨터(PC)가 탄생한 셈이다.

1세대 아이폰은 당시 미국 2위 이통사였던 AT&T와의 비밀 회동 등 사전 작업을 통해 공개된지 6개월만인 6월 29일 공식 판매가 시작됐다. 당시 2G를 지원했던 1세대 아이폰은 보다 진보한 3G 네트워크를 받아들이면서 2008년 7월 11일 '아이폰 3G'라는 명칭으로 론칭됐다. 보다 완성도를 높인 '아이폰3GS'는 2009년 6월 8일 세상에 공개됐다.

◆ 국내 아이폰 도입 '고난의 연속'

아이폰은 전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으나 국내에는 미풍에 불과했다. 이통사 중심의 단말 유통이 고착화되고, 콘텐츠 플랫폼 역시 위피(WIPI)가 의무화돼 외산 단말 수급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아이폰은 2007년 첫 판매됐지만 국내에는 약 3년간 이를 정식으로 보기 어려웠다.

외산 단말이 국내 정식 출시되려면 위피를 적용해야 했다. 아이폰은 자체 iOS 운영체제 기반의 콘텐츠 플랫폼인 앱스토어가 있어 타 제품보다 국내 장벽을 뚫기 힘들었다. 더군다나 앱스토어는 개발자들에게 수익을 배분하는 정책을 채택, 국내 콘텐츠 생태계에도 맞지 않았다.

하지만 초기 콘텐츠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위피는 이통사의 지배력을 키우는데 일조하면서, 시간이 흐를수록 변질됐다. 해외에서는 콘텐츠 전문 퍼블리셔가 있는 반면에, 국내는 이통사가 이 역할을 대신했다. 진입장벽이 높았기에 이 안에 들어오면 안정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반대로 들어올 수 없다면 성장이 더딜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결국, 방송통신위원회는 2009년 4월 1일부로 위피를 폐지했다. 아이폰뿐만 아니라 타 외산단말이 유입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그러나 다른 관문이 남아있었다. 국내는 특성상 위치정보에 민감하다. 아이폰의 위치정보 정책과 국내 위치정보법이 상충되면서 아이폰 도입은 여전히 어려웠다. 결국 이통사가 이용양관에 위치정보법 적용 여부를 포함시키기로 결정하면서 정책적인 장애는 사라졌다.

다만 또 다른 문제가 걸려 있었다. 아이폰을 과연 어떤 이통사가 도입할지 여부다. 국내는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전세계적으로 맹위를 떨치고 있는 제조사가 군림하는 곳이었다. 업계에서는 이통사가 아이폰을 도입하려면 국내 제조사 눈치를 살펴야 한다는 말이 공공연히 퍼졌다.

이통사 중 아이폰을 선택한 곳은 다름아닌 KT였다. KT와 애플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KT는 당시 SK텔레콤에 밀려 만년 2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실정이었다. 반전을 꾀할 승부처가 필요했다.

애플은 이미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1위 업체보다는 공격적으로 1위를 위협하는 2위 이하 사업자를 선호했다. 미국 버라이즌 대신 2위인 AT&T를, 일본에서도 1위인 NTT도코모 대신 소프트뱅크를 선택한 것도 이 같은 전략 일환이다.

야속하게도 도입이 결정된 이후에도 고난은 계속됐다. KT는 본래 출시하고자 하는 일정을 맞추지 못했다. 이 때문에 아이폰은 '담달폰'이라는 오명을 쓰기도 했다. 다사다난한 항해를 마친 애플 '아이폰3GS'는 2009년 11월 28일 KT를 통해 정식 출시됐다.

◆ 'KT 아이폰 vs SKT 갤럭시'…대리전 '치열'

3G가 본격화된 2007년 이후부터 이통사가 단말 유통에 중심으로 자리 잡으면서 단말 수급력 또한 이통사의 주된 경쟁력으로 작용했다. 어떤 이통사가 보다 전략적인 제품을 내놓는지가 가입자 유치에 큰 영향을 줬다.

아이폰3GS는 즉각적으로 KT에 힘을 실어줬다. 아이폰3GS는 국내 사용자들의 선택을 받으며, 100만 대 가까운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 같은 노력으로 KT는 '아이폰 정통성'을 마케팅에 꾸준히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앞서 SK텔레콤은 삼성전자와 함께 국내 스마트폰 시장 장악에 나섰다. 2008년 SK텔레콤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모바일 운영체제(OS) 기반의 삼성전자 '옴니아'를 출시했다. 이후 KT의 아이폰3GS에 맞서, 이보다 이른 시기인 2009년 10월 22일 '옴니아2'를 내놨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옴니아는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한채 사라졌다.

절치부심한 삼성전자는 윈도모바일에서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로 전환, 현재까지 삼성전자의 대표 플래그십 모델로 자리잡은 1세대 '갤럭시S'를 공개했다. 갤럭시S는 아이폰에 대항하기 위한 삼성전자의 야심작으로 2010년 3월 23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ITA2010에서 첫 공개됐다.

국내서는 SK텔레콤이 갤럭시S 판매에 나섰다. KT의 아이폰4보다 이른 6월 24일부터 정식 출시됐다. 갤럭시S 론칭에는 당시 신종균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과 하성민 SK텔레콤 대표, 앤디 루빈 구글 대표가 함께 했다. 갤럭시S는 2011년 1월 글로벌 시장에서 무려 1천만대를 돌파할 정도로 순항했다.

KT는 이에 대항 2010년 9월 10일 애플 아이폰4 국내 판매에 나섰다. 갤럭시S보다 다소 늦었고, 담달폰의 오명이 여전했기에 초기 판매량을 주춤했으나 뒷심을 발휘했다.

SK텔레콤은 KT보다는 늦었지만 2011년 3월 16일 '아이폰4'를 도입했다. 당시 글로벌 시장에서 복수 이통사가 아이폰을 내놓는 경우는 이례적이었다. 애플의 정책 때문이다. 그만큼 국내 시장의 중요도가 높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이를 기점으로 이통3사가 특정 제조사 플래그십 모델을 단독 출시하는 트렌드에서 탈피, 이통 3사가 동일한 단말을 출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세대를 넘어 4세대통신(4G) 롱텀에볼루션(LTE)이 시작되기에 이른다.

김문기기자 moon@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통신돋보기] 아이폰 쇼크, 국내 이통판을 뒤엎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BJ과즙세연 TIMELINE

BJ과즙세연과 함께 걸어가는 방시혁 회장 8일 유튜브 채널 'I am WalKing'이 공개한 영상에서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지난 7월 미국 LA 베벌리힐스에서 유명 인터넷방송인 BJ과즙세연과 함께 걸어가는 모습이 포착됐다. 사진은 유튜브 영상 캡처.

  • 다음 뉴스에서 아이뉴스24 채널 구독 하고 스타벅스 커피 쿠폰 받으세요!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