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국내 연구진이 반경 수십미터에서 1킬로미터 내에서 무선 AP처럼 붙여 사용하는 소형 기지국인 LTE 스몰셀 SW 국산화 성공에 이어 향후 5세대통신(5G) 인프라에 필수적인 스몰셀 장비 국산화를 위해 본격 연구에 뛰어 들었다. 오는 2022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5G 무선접속(NR)기반 지능형 오픈 스몰셀 기술 개발에 착수, 21일 원내서 공동연구기관과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워크샵을 개최했다고 23일 발표했다.
ETRI가 개발하는 기술은 5G 핵심조건인 최대 전송속도(eMBB) 향상 중 사용자 체감 전송속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둔 기술이다.
연구진은 기술이 상용화 되면 첫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개방형 구조를 지향하기에 새로운 융합 생태계가 마련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 장비는 일체형 스몰셀이 대부분이었는데 본 기술은 기능별로 장비를 분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다. 사업자가 목적에 따라 장비를 따로 따로 나눌 수 있어 다양한 장비 생태계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스몰셀 위에 개방형 API를 제공, 스몰셀이 장착되는 빌딩, 쇼핑몰, 경기장 등과 같은 지역에서 목적에 맞는 서비스가 쉬워진다. 이에 맞는 생태계 마련도 가능해 사업자가 서비스 조력자(Enabler)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ETRI는 SK텔레콤, 콘텔라, 유캐스트와 공동개발을 통해 2020년까지 국제표준기구인 3GPP의 NR 첫 번째 단계 규격을 제공하는 5G NR 스몰셀 기지국 개발이 1차 목표다.
LTE망을 이용하되 대용량, 초고속 데이터 통신이 필요할 때만 5G를 이용하는 기술 개발 후 LTE 망 없이 5G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기술까지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LTE에서 5G로 도약하기 위해 연구진은 기존 연구개발에 성공했던 LTE 스몰셀 기술을 경험으로 밀리미터파까지 수용할 수 있는 5G NR 규격 및 사용자가 체감하는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한 위치기반 빔포밍 기술을 개발, 새로운 기지국에 적용한다는 것이다.
오는 2022년까지 3GPP NR 두 번째 단계 규격에 지능형,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추가 개발하고 5G 스몰셀 기지국을 상용 수준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한편 스몰셀은 가정용, 빌딩, 특수목적 뿐만 아니라 5G 인프라를 활용하고자 하는 작은 규모의 다양한 융합서비스들을 쉽게 수용할 수 있어서 중소기업이 진출 가능한 분야이다.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핵심 원천 특허를 확보, 이를 통해 스몰셀 분야 국제표준 기술개발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김태중 ETRI 미래이동통신연구본부장은 '5G 스몰셀 기반기술의 국산화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이동통신 장비시장 참여를 위한 돌파구가 될 것이다. 이로써 다양한 5G 융합서비스 적용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