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고정삼 기자] 14일 코스피지수가 2020년 11월 이후 약 19개월 만에 2500선 아래로 주저앉았다.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자,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 우려가 다시 고개를 내밀었기 때문이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주식전략 파트장은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현 상황에서도, 관망 대응보다 저점 매수 중심의 대응이 유효하다고 진단했다.
![사진은 강현기 DB금융투자 주식전략 파트장. [사진=DB금융투자]](https://image.inews24.com/v1/930077fe7f2eb0.jpg)
강 파트장은 <아이뉴스24>와의 통화에서 "미국의 5월 CPI 증가율이 올라가면서, 연준이 가을까지도 고강도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에 만연해졌고, 코스피 역시 많이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주가지수가 내려가면서 밸류에이션상 바닥권 주식들이 상당히 많아졌다"며 "이런 주식들을 중심으로 매수 접근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요즘 주식시장을 보면 한번 방향을 틀어서 올라갈 때, 그 속도가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다시 매수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며 "상승 상황에서 매수 대응하겠다는 것이 만만치 않은 만큼, 밸류에이션상 바닥권을 중심으로 대응하는 것이 낫다"고 권고했다.
강 파트장은 저평가 매력이 높은 업종으로 철강, 유통, 보험 등을 꼽았다.
또한 단기적으로 오는 14~15일(현지시각) 이틀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불확실성만 해소된다면, 시장 불안도 다소 누그러질 수 있다고 강 파트장은 내다봤다.
강 파트장은 "이번 FOMC에서 시그널만 분명하게 제시한다면, '자이언트 스텝'이든, '빅스텝(0.5%포인트 금리 인상)'이든, 불확실성에 대한 해소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며 "물론 모호하게 이야기할 경우 시장 자체의 불안도 이어질 수 있지만, 그게 아니라면 FOMC 이후에는 시장 흐름이 그리 나쁘게 흐를 것 같지 않다"고 전망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