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일문일답] LGU+, 국토부 자율주행사업 주관연구기관 됐다…이유는?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국토부 주관 자율주행사업 주관연구기관으로 협약 완료
28일 오후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관리서비스' 사업 관련 온라인 브리핑 진행

[아이뉴스24 박소희 기자]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의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연구개발' 과제의 주관연구기관으로 협약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왼쪽부터) 류형상 LG유플러스 미래모빌리티기술팀장,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랩장, 남백 LG유플러스 스마트모빌리티사업담당 전문위원이 28일 오후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 관리 서비스' 온라인 간담회에서 질의응답하고 있다. [사진= LG유플러스 유튜브 중계 갈무리]
(왼쪽부터) 류형상 LG유플러스 미래모빌리티기술팀장,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랩장, 남백 LG유플러스 스마트모빌리티사업담당 전문위원이 28일 오후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 관리 서비스' 온라인 간담회에서 질의응답하고 있다. [사진= LG유플러스 유튜브 중계 갈무리]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은 국토교통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경찰청 등 4개 부처 주관으로 오는 2027년 융합형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G유플러스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모빌리티 서비스, 실시간 수요대응 대중교통 모빌리티 서비스 등 5개 과제에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 중이다.

이와 관련해 LG유플러스는 지난 28일 오후 온라인 간담회를 개최하고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 관리 서비스'를 주제로 사업 솔루션을 설명했다. 이날 자리에는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랩장 ▲류형상 LG유플러스 미래모빌리티기술팀장 ▲남백 LG유플러스 스마트모빌리티사업담당 전문위원 등이 참석해 발표 및 질의했다.

다음은 LG유플러스 측과의 질의응답.

Q>LG유플러스가 주관으로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이유는?

A> (전영서 랩장) 우리가 주관하는 부분은 전체 서비스를 기획하고 설계해서 실증하는 것으로 상용화가 최종 목적이다. 이번 과제는 크게 ▲통신 시스템 ▲차량 시스템 ▲관제 시스템 등 3개 영역으로 나뉘어 있는데, 전 영역에 우리가 확보한 기술이 포지션 돼 있기 때문에 이 기술들이 협업해야 하는 과제이므로 LG유플러스가 주관 기업으로 등록해 과제를 수주했다. 각 영역별로 보면 통신을 기반으로 해야하는 과제도 있고, 다이나믹맵 기술이나 실시간 3D맵 기반의 차량 관제 기술, 리얼 타임에 대한 저지연 영상 처리 기술 등도 가지고 있다. 이런 기술이 접목돼야 실현 가능한 과제이기 때문에 전체를 주관하면서 현재 각 분야별 1위 사업자들과 협력해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Q> 최근 자율주행 규제에 대한 움직임이 어떤가. 향후 자율주행 상용화 안착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풀어야하는 규제는 무엇인가.

A> (전영서 랩장) 실제로 자율주행에 대한 규제에 의해 연구 과제가 제한되는 요소들이 많았는데, 현재 정부도 개발에 대한 환경을 지속 확대하고 개발환경을 좀더 수월하게 하기위해 여러 규제들을 풀어 주고 있다. 일례로 첫째, 자율 주행 임시 운행에 대한 규제는 현재 거의 다 풀렸다고 봐도 된다. 최소한의 안전운행요건을 갖추면 교통약자 구간을 제외한 전국 도로에서 자율 주행 시범 운행이 가능한 구조로 (규제가) 풀려있다.

둘째로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차량이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라이더·레이더·카메라 3가지 종류가 필요하다. 이중 카메라에서는 촬영이 안되는 규제가 있었는데, 현재는 차량 촬영에 대한 부분을 사전에 알리고 법적으로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 특정 조건에 대해서는 규제를 푸는 경향이 있다. 국내에도 자율주행 상용화 일정에 맞춰서 규제가 풀리도록 정부 각 층에서 도움을 주고 있다. 오는 2027년까지 4년이 남았는데, 4년 동안 개발·검증·실증을 거쳐 규제 관련 요소를 정부에 요청해 지속적으로 규제가 완화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Q> 총 사업 규모 및 사업비는 어느 정도인가?

A> (전영서 랩장) 본 과제에 대해 수주한 정부의 비용은 120억원이다. 도시환경 관련 사업 규모는 현재 청소 관련 차량이 지난 2021년도 통계 기준 약 1천650여대가 국내 운영 중이다. 전체 규모는 약 3천300억원 정도이다. 오는 2027년까지 과제를 마무리하고 정착된다면 2030년에는 25~30%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액으로는 900억원 정도 규모로 산정된다. 다만 이는 과제에 대한 사업규모이고, 모빌리티 전 영역 사업규모는 아니다.

(왼쪽부터)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랩장, 류형상 LG유플러스 미래모빌리티기술팀장이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 관리 서비스' 온라인 간담회에서 설명하고 있다. [사진= LG유플러스]
(왼쪽부터)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랩장, 류형상 LG유플러스 미래모빌리티기술팀장이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 관리 서비스' 온라인 간담회에서 설명하고 있다. [사진= LG유플러스]

Q>고객 니즈에 맞춰 모바일 앱도 개발·연동해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한다고 했는데, 여기서 고객이 누구이며 어떤 앱을 말하는 건가.

A> (전영서 랩장) 지금까지 없었던 고객 편의성 부분은 청소나 미세먼지 부분을 정비하겠다는 것이다. 가령 시민들이 LG유플러스의 앱을 깔아서 특정 지역에 대한 청소를 부탁한다고 알림을 주면, 자율주행 청소차량이 특정 시간에 가서 요청한 청소를 해주는 편의 기능으로 봐달라.

Q> 원격제어 시 200ms면 0.2초인데, 휴먼 에러 등이 더해지면 제어가 더 느려질 수 있을 것 같다. 안전사고에 대비한 추가 조치가 있나.

A> (류형상 팀장) 사람이 반응할 때 최대 속도가 100ms다. 200ms면 고속주행을 포함하는 경우 조금 늦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도시환경관리 서비스는 5km의 저속에서 대응하기 때문에, 200ms(속도)인 경우 27cm 전방에 있는 물체를 예측하면 된다.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굉장히 안전한 상태에서 원격주행이 이뤄질듯 하다. 그러나 (질문처럼) 발생 가능한 휴먼 에러에 대비해서는 센서가 유지된 상태에서라면 우선적으로 물건이 전방에 등장하면 멈추는 것을 원칙으로 가이드라인이 나와있다.

A>(전영서 랩장) 추가로, 자율주행에 다양한 센서 정보를 올리려면 초당 100Mbps의 데이터를 실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 관제 플랫폼에 올려야 한다. 차량에 대한 각종 시스템에 로그를 올리려면 (용량이) 수백 GB가 되는데, 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에 제안하는 기술이 200ms에 대한 최초 저지연 처리 기술이라는 점이 차별성이 있을 듯하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랩장이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LG유플러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랩장이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LG유플러스]

Q> 4만km 이상 서비스 실증 계획이라고 말했는데, 4만km를 설정한 기준이 있나.

A (류형상 팀장) 기준은 2년이라는 실증 기간 있었다. 그 이후 저속 차량이라는 기준이 적용됐다. 다른 고속차량은 6만km로 설정됐는데, 우리는 이보다 적게 설정됐다. 하루 운행을 6시간 동안 꾸준히 한다고 하면 4만km 정도면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Q> 자율주행 통신규격 표준화가 안됐는데, WAVE, C-V2X 방식인지에 대한 혼선이 있다. 통신사의 입장은 무엇인가.

A> (전영서 랩장) 표준화에 대한 부분은 최대 관심사다. 중국과 미국은 C-V2X 방식으로 표준화 적용 발표를 해서 모든 기술개발이나 상용 단계를 해당 기준으로 가져가고 있다. 유럽은 연말 아니면 내년 초에 두 방식 중 산정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2가지 방식 중 아직은 미정이지만, 올 연말까지 정부에서 결정하는 것으로 돼있다. 오늘 이 자리에서 WAVE나 C-V2X에 대한 방향을 말하기는 어렵다. 방식 선정에 관계 없이 우리 과제는 2가지 방식을 모두 수용하는 구조다. 때문에 최종적으로 올해 선정되더라도 내년에 디자인하고 설계할 때 두 가지 중 한 방식을 선정할 수도 있고, 두 가지 방식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가능하다.

Q> V2X 통신 표준 미확정으로 3개 통신 방식 모두를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고 했는데, 차량뿐 아니라 인프라 역시 그렇게(여러 개로) 구축하는 것인가. 구체적인 방식 설명 부탁드린다.

A> (전영서 랩장) 우선 올해와 내년에는 제품을 설계 및 개발할 계획이고, 내후년에는 테스트베드인 GS건설에 제공해주는 산업단지나 특정 도로에서 테스트할 것이다. 올 연말 리빙랩이라는 실증 사이트가 설정되면 그 지역에서 2년(26, 27년)동안 실증을 거쳐서 최종 상용화하게 된다.

Q> 최근 V2X 표준화 진전 상황도 업데이트 부탁드린다.

A> (전영서 랩장) 도로 인프라 관련해서는 라이다·레이다·카메라 3영역이 있다. 이 3개를 모두 다 수용하는 구조로 갈 것이다. 또 하나 인프라가 여러가지 있는데,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중요하기 때문에 과거부터 얘기가 나오던 MEC를 활용하는 부분이 있다. 우리도 전국 도로에 MEC 인프라가 이미 구축돼 있다. 더 나은 실시간 서비스를 원한다면 추가 구축해서 사업에 큰 이상이 없게 지원하도록 할 것이다.

/박소희 기자(cowhee@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일문일답] LGU+, 국토부 자율주행사업 주관연구기관 됐다…이유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BJ과즙세연 TIMELINE

BJ과즙세연과 함께 걸어가는 방시혁 회장 8일 유튜브 채널 'I am WalKing'이 공개한 영상에서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지난 7월 미국 LA 베벌리힐스에서 유명 인터넷방송인 BJ과즙세연과 함께 걸어가는 모습이 포착됐다. 사진은 유튜브 영상 캡처.

  • 다음 뉴스에서 아이뉴스24 채널 구독 하고 스타벅스 커피 쿠폰 받으세요!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