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엽수 단순림(위)과 혼합림(아래) 산불 피해 시뮬레이션. 단순림에서 피해가 더 컸다. [사진=그린피스]](https://image.inews24.com/v1/49f61e7fa2e66b.jpg)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침엽수 등으로 조성된 단순림이 혼합림보다 산불 피해 규모가 1.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동해안 산불과 올해 의성군에서 일어났던 대형 산불에서도 확인됐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생물다양성의 날(5월 22일)을 맞아 ‘보호받지 못한 보호지역: 보호지역 관리 실태 보고서3’을 21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폴란드 아담 미츠키에비치대학이 연구한 산불 시뮬레이션 결과와 그린피스 현장 답사 결과가 담겼다.
올해 봄 의성군에서 한국 역사상 최악의 산불이 발생하면서 침엽수 단순림이 산불 피해를 키웠다는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그린피스는 폴란드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 연구팀과 숲의 형태별 산불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를 보면 산림 연료 습도가 낮을 때 침엽수 단순림은 산불 시작 2시간 뒤 시점에서 전체 산림의 30%가량의 바이오매스가 연소됐다. 혼합림은 20% 수준의 바이오매스 피해에 그쳤다.
같은 침엽수 종이라 해도 침엽수 단순림 내 침엽수의 피해가 혼합림 내 피해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일림 구조가 상대적으로 산불에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양한 수종이 있는 혼합림이 침엽수 단순림보다 산불 피해가 눈에 띄게 적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종 다양성이 높은 숲이 산불 피해를 막을 천연 방패막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해당 연구는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 연구팀과 구글 브레인이 개발한 최신 생태계 모델을 활용해 진행됐다.
![침엽수 단순림(위)과 혼합림(아래) 산불 피해 시뮬레이션. 단순림에서 피해가 더 컸다. [사진=그린피스]](https://image.inews24.com/v1/8fc678a83d6d77.jpg)
연구팀이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 사례를 추가 분석한 결과에서도 혼합림의 산불 피해가 가장 적었다. 침엽수와 활엽수 단순림은 특정 지형에서 취약했는데 혼합림은 대부분의 지형에서 일관되게 낮은 피해를 보였다.
시뮬레이션을 검토한 이시영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순 사면형 지형(단순 상향 경사) 조건에서 산불의 확산 양상을 재연한 것”이라며 “혼합림 내 활엽수의 경우 실제 지난 3월 산불 당시에는 잎이 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처럼 잎이 난 조건과는 차이가 있어 정확한 비교에는 한계가 있고 정밀한 추가 분석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전제했다.
이 교수는 “그럼에도 산림 연료 습도가 낮은 환경에서 침엽수림에서 수관층으로 화재가 옮겨붙는 시뮬레이션 결과는 실제 산불에서 나타난 주요 양상과 상당 부분 일치한다”고 평가했다.
지난 4월 말 그린피스의 주왕산 국립공원 현장 답사에서도 시뮬레이션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침엽수가 밀집한 지역의 마을은 극심한 피해를 보았다. 다양한 수종이 혼재된 너구마을 주변은 산불 피해가 거의 없었다.
주민들은 “주변 혼합림이 방화림 역할을 했고 위에서 아래로 바람이 부는 계곡 지형의 특성도 산불이 번지는 걸 막았던 것 같다”고 전했다.
![침엽수 단순림(위)과 혼합림(아래) 산불 피해 시뮬레이션. 단순림에서 피해가 더 컸다. [사진=그린피스]](https://image.inews24.com/v1/bfcfc367ae7323.jpg)
최태영 그린피스 생물다양성 캠페이너는 “이번 시뮬레이션과 현장 조사는 생물다양성이 높은 숲이 산불을 막는 천연 방패막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산불 피해 후의 숲은 자연적 천이 과정을 거쳐 극상림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보호지역과 이에 준하는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 등의 보전 정책을 강화하고 개발 위협에서 벗어나도록 적극적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캠페이너는 “2030년까지 보호지역을 30%로 확대, 지정하겠다는 KMGBF(쿤밍 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에 따라 한국 정부가 보호지역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생물다양성 기본법 제정, 국가생물다양성위원회 기능 강화,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의 혁신적 개선 등의 정책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