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동현 기자] 한국과 미국이 오는 8월 1일 전까지 무역 합의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집중 협상에 들어간 가운데 한미 산업장관 간 이틀째 협상이 종료됐다.
25일(현지시간) 통상 소식통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뉴욕 러트닉 장관 자택에서 진행한 협상이 이날 늦은 밤 마무리됐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https://image.inews24.com/v1/8d523071fcf55a.jpg)
양국 산업 장관은 지난 24일 워싱턴DC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첫 번째 협상을 벌인 뒤, 이날 뉴욕 러트닉 장관 자택으로 장소를 옮겨 이틀째 협상을 이어갔다.
우리 정부 대표인 김 장관은 25일 대통령실에서 진행된 통상 대책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첫 협상보다 진전된 수정 제안을 제시했다. 대미 투자, 소고기·쌀을 포함한 농축산물 이슈 등 쟁점 분야에서 추가적인 논의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같은 제안에도 러트닉 장관은 한국 측에 더 많은 양보를 요구, 협상 타결 수준까지는 접근하지 못한 것으로 관측된다. 소식통은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 회의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https://image.inews24.com/v1/dd6bca7ab3f27f.jpg)
김 장관은 이날 러트닉 장관과의 추가 협의 결과를 본국에 보고했으며 대통령실은 26일 비서실장 주재로 통상 대책 회의를 연 뒤, 협상 타결을 도출하기 위해 우리 측 대응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대통령실서 정리된 우리 정부 입장을 바탕으로 추가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당초 그는 지난 25일 귀국 예정이었지만 협상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한미 간 막판 협상이 집중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현지에 남아 대미 협상을 총괄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