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표윤지 기자] 충북도의회(의장 이양섭)가 1000억원에 가까운 혈세를 들여 새로 마련한 신청사에 기자실과 브리핑룸을 두지 않으면서 도민 알권리 충족은 물론, 언론의 감시·견제 역할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 옛 중앙초등학교 자리에 지어진 충북도의회 신청사는 지하 2층∼지상 5층, 연면적 2만9256㎡ 규모다. 총 사업비는 혈세 953억원이 쓰였다.
하지만 도민 대표임을 자처한 도의원들이 사용할 신청사에는 정작 기자실은 물론, 의장단과 상임위원회가 현안을 설명하고 언론과 질의응답을 하는 전용 브리핑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할 땐 도청 브리핑룸을 사용하겠단 입장이다.

이에 대해 언론 등 지역사회에선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도내 한 정치부 기자는 “혈세로 청사를 지어놓고, 도민 알권리 충족을 위한 대언론 소통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한 지자체 공무원은 “전국 시·도의회 중 기자실은 차치하더라도 별도 브리핑룸 없는 의회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브리핑룸 부재는 언론과 소통 의지가 없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충북도의회와 대조적으로 정부는 ‘공개 브리핑’을 정책 소통의 기본으로 내세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후 지난 6월 24일 대통령실에 쌍방향 브리핑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 도입 이후 대통령실 브리핑룸에는 카메라 4대가 추가 설치돼 대통령실 인사와 기자가 질의응답하는 과정이 생생히 공개되고 있다.
나아가 지난달 18일 정부 부처에도 대통령실이 시행한 쌍방향 브리핑 시스템이 확대 도입됐다. 이 같은 기조는 정책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국민 알 권리를 보장하려는 취지로 읽힌다.
지난달 29일 열린 국무회의는 사상 처음으로 실시간 생중계 됐다. 당시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이 정책 논의 과정을 볼 권리가 있다며 생중계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충북도의회의 소통 방식에 지역 정치권에서도 우려가 나온다.
한 지역 정계 관계자는 <아이뉴스24>와의 통화에서 “충북도의회가 혈세 수 백억원을 들여 신청사를 지었는데, 정작 도민이 궁금해하는 현안을 신속·투명하게 알릴 수 있는 장치를 두지 않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며 “브리핑룸은 단순히 기자들의 공간이 아닌, 소통의 상징”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최호택 배재대 행정학과 교수는 <아이뉴스24>와의 통화에서 “지방자치에서 가장 중요한 헌법적 기관은 의회”라며 “주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주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언론브리핑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 교수는 “의회 청사에 브리핑룸이 없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이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충북도의회 관계자는 <아이뉴스24>와의 통화에서 “(신청사에는) 기자실도 없고, 브리핑룸도 없다”며 “도청에 있는 브리핑룸을 같이 사용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그 이유로는 “공간도 안 나오고 이런저런 사정 때문에 따로 만들지 않았다”고 말했다.
/청주=표윤지 기자(pyj@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