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KISTI의 과학향기]태안편, 신두리 지리여행(Sinduri Geotravel)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여행을 제대로 하려면 뭘 좀 알아야 하죠. 하지만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과학향기에서 5월부터 새롭게 지리여행을 테마로 한 칼럼을 마련했습니다.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은 평소 익숙한 곳이지만 잘 알지 못했던 것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꾸며 매월 마지막 주에 서비스할 예정입니다. 과학향기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서해안 지도를 들여다보면 바다 쪽으로 도드라져 나온 부분이 보인다. 태안반도다. 손으로 따라 그리기도 어려운 구불구불한 해안선이 예술이다. 세계 어떤 나라에서도 쉽게 볼 수 없는 굴곡진 해안. 그 속에는 어떤 얘기가 담겨 있을까? 발걸음을 옮겨보기로 하자.

충남 태안은 볼 곳이 천지다. 530km의 리아스식 해안 전부가 명소다. 드넓은 해수욕장이 30여 개나 있다. 섬도 백 개가 넘는다. 그래서 국내 유일의 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돼 있다. 최근 100km가 넘는 해변길이 조성되면서 사람들이 더 몰려들고 있다.

이런 태안의 해안이지만 이중에도 으뜸은 있다. 원북면에 위치한 신두해변이다(사진 1, 2). 신두해변은 우리가 잘 아는 만리포에서 1시 방향으로 7km 떨어진 곳에 있다. 이곳에는 다른 곳에 없는 두 가지 볼거리가 있다. 천연기념물인 신두사구(薪斗砂丘)와 람사르습지*인 두웅습지가 바로 그것. 이 둘은 신두리 지리여행의 핵심 콘텐츠다. 신두사구는 국내 최대의 해안사구이며, 두웅습지는 국내 제일의 해안배후습지다.

본디 신두해변을 따라 펼쳐진 사구의 전체 길이는 3.5km. 이중 '한국의 사막'으로 불리는 천연기념물(제431호, 2001년 지정) 구역은 신두사구 북쪽의 길이 1.5km, 최대 폭 1.3km 구간이다. 최대 높이 19m1를 정점으로 하여 좌우로 끝없이 펼쳐진 사구가 장관이다(사진 3). 신두사구는 북서풍을 정면으로 받는 방향으로 길게 늘어서 있다. 북서계절풍이라는 탁월풍이 신두사구를 만든 것이다. 그래서 겨울에 이 사구는 성장한다.

신두사구는 언제 만들어진 것일까? 갑자기 신구사구의 역사가 궁금해진다. 사구는 보통 마지막 빙기인 뷔름(Würm)빙기를 기점으로 그 이전을 고사구(古砂丘), 그 이후를 현생사구(現生砂丘)라 부른다. 약 1만 년 전부터 쌓이기 시작한 후빙기의 현생사구층이 수십만 년 전 최후간빙기 때 형성된 두터운 고사구층을 덮어 지금의 사구를 만들고 있다. 신두사구도 현생사구 밑에 고사구가 자리하고 있다. 그 증거로 신두사구에서 발견되는 적색 모래층을 들 수 있다. 2 적색 모래층은 고사구 모래층으로 현생사구의 밝은 모래층과 구분된다. 모래가 붉은 색을 띠는 이유는 풍화를 받은 산화철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신두사구 남쪽에는 해안배후습지가 있다. 길이 200m, 폭 100m. 수심 3m의 두웅습지다(사진 4). 사구 후면에 발달되어 있어 사구배후습지라고도 불린다. 규모가 작은 두웅습지지만 이 습지는 우리나라 해안사구에 인접한 습지로는 규모가 제일 크고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와 금개구리, 표범장지뱀을 비롯한 수백 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람사르습지로 등록돼 있다. 두웅습지는 희귀 야생동식물의 보금자리이자 이들을 관찰할 수 있는 둘도 없이 귀중한 생태학습장이다.

두웅습지 형성은 신두사구 형성과 괘를 같이 한다. 사구가 만들어지면서 모래 속으로 오랜 시간동안 빗물이 들어가 지하수가 됐고, 그 지하수가 지대가 낮은 사구 뒤편으로 모여들어 사구배후습지를 만들었다. 두웅습지를 둘러싼 주변의 낮은 구릉지는 두웅습지로 물을 지속 공급하고 있는 물탱크다(사진 5). 여기서 새로운 사실 한 가지. 1919년 일제강점기 때 제작된 지형도를 보면 ‘두웅’이 아니라 ‘두응(斗應)’으로 표기돼 있다. 만약 발음의 편리상 두응이 두웅으로 회자되고 있는 것이라면 당장 두응으로 바로 잡을 일이다.

원래 신두사구 주변 지형은 현재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그림 1(a)에서 보듯 지금은 신두사구 주변이 방조제로 전부 막혀 있으나 1919년 당시만 해도 신두해변 북쪽과 남쪽은 만(灣)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그림 1(b)). 해안으로 몰려든 연안류가 자유롭게 신두해변 위 아래로 들락거리며 앞쪽 해안에는 모래를, 뒤쪽 만에는 펄을 쌓아 각각 사빈(sand beach, 강에서 운반된 모래 또는 해안 침식으로 생긴 모래가 퇴적돼 만들어진 모래해안)과 갯벌을 만들었다. 반복된 밀물과 썰물의 분급(分級)작용*이 신두사구를 건강하게 유지, 발달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 신두해변 주변에 방조제가 생기기 시작했다(그림 1(b)의 흰색선). 그 결과 바닷물의 흐름이 막혀 토사의 퇴적환경이 크게 바뀌고 말았다. 만이 사라지는 바람에 펄이 쌓일 장소가 없어져 신두해변에 펄이 보이기 시작했고 그 결과 사구로 불어드는 모래량이 방해받기 시작했다. 현생사구의 형성 메커니즘이 바뀌게 된 것이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신두사구는 버려진 구석진 땅이었다. 공사용 모래더미였다. 모래 선별기가 동원돼 트럭에다 모래를 쓸어 담을 정도였으니 지금으로선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신두사구의 대부분이 사유지인 탓에 천연기념물 지정도 어려웠다. 토지 소유주가 일부러 쓰레기를 투척하기도 했었다. 지금의 신두사구는 이를 이겨낸 민과 관의 합작품인 것이다.

최근 또다시 신두사구 보존을 위한 힘겨운 싸움이 시작되고 있다. 사구를 뒤덮고 있는 식생을 걷어내 신두사구를 사구답게 복원시키는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돗토리사구가 멘토다(사진 6). 1994년부터 사구 잡초를 자원봉사자들 맨손으로 걷어내 사구를 훌륭하게 복원시킨 그들의 자부심이 부럽다. 현재 태안군도 문화재청의 승인을 얻어 사구 후면부의 초지 1/3 가량을 제거, 자연 본래의 사구경관 회복을 위해 애쓰고 있다.

사실 신두사구 보존의 근본적 문제는 사구의 절대면적 감소 우려에 있을지도 모른다. 현재 신두해안에는 모래포집기를 설치해 모래 알갱이를 모으기 위한 사투를 벌이고 있다(사진 7). 올해엔 포집기가 잡은 모래를 사구 후면부로 이동시킬 목적으로 전사구(前砂丘, foredune, 사구의 전면부를 말함)의 식생 일부를 걷어낼 예정이다. 사구 전역에 퍼져있는 곰솔(해송의 일종) 처리도 골칫거리다. 신두사구 곳곳에 흩어져 있는 폐철망과 폐목 등 쓰레기는 차라리 애교다. 사구를 따라 맨땅이 노출된 채 흉물스레 길게 방치돼 있는 옛 차도는 신두사구 복원을 위한 최대 걸림돌이다.

작년 말 신두사구 초입에 사구센터가 건립됐다. 여행객들이 국가생태관광지로 지정된 신두사구의 자연을 제대로 즐기게끔 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아직도 개관이 지연되고 있다. 사구센터의 콘텐츠가 미비한 탓이다. 우리가 원하는 건 거대한 하드웨어가 아니다. 일본의 돗토리 사구센터에서 보듯 아기자기한 손때 묻은 친절히 설명된 자료가 필요한 것이다. 아이들이 모래를 만지며 뛰어 놀 수 있는 체험 사구센터, 우리나라와 세계의 유명 사구를 학습할 수 있는 생태 사구센터로의 탄생을 기대해 본다. 신두리 지리여행의 핵심은 바로 사구센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용어 해설>* 람사르습지: 물새 및 생물종 다양성 보존을 위해 람사르협약에 의거, 지정된 습지. 람사르협약은 1971년 이란의 해안도시 람사르에서 맺어진 ‘물새 서식지로서 중요한 습지 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이다.

* 분급작용(分級作用, sorting): 입자 크기가 큰 것은 큰 것끼리 작은 것은 작은 것끼리 나뉘어 쌓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입자의 침강속도와 깊은 관계를 갖고 있다.

글: 박종관,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교수(http://jotra.com), 문화체육관광부 생태관광컨설팅위원장(MP)

사진: 박종관 교수 제공

<인용 자료> 1. 태안군, 신두사구 보전 및 활용방안, p.476.

2. 강대균, 2003, 해안사구의 물질 구성과 플라이스토세층 -충청남도 해안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8-4, 505-517.

3. 구글어스 지도4. 네이버 지도5. 다음 지도

[추천 여행지]태안에는 명소가 많다. 위에서 소개한 신두리해변을 비롯한 만리포, 몽산포, 청포대 해수욕장부터 국내 유일의 소나무 단순림인 안면도 자연휴양림에 이르기까지 볼거리가 참 많은 곳이다. 그 중 탁 트인 바다와 소나무 숲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태안 해변길을 소개하기로 한다.

태안 해변길은 태안의 리아스식 해안을 따라 이원면 만대항에서 안면도까지 태안군 전역에 걸쳐 약 100km, 8개 코스로 조성된 생태 탐방로다. 바라길, 소원길, 파도길, 솔모랫길, 노을길, 샛별길, 바람길, 천사길로 이뤄져 있다.

학암포 해수욕장에서 신두리해변까지 이어지는 바라길은 태안 해변길 1코스로 여행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바라길이 시작되는 학암포자연관찰로에서는 다양한 동식물을 소개하는 안내판이 있어, 아이들도 함께 즐길 수 있는 코스다. 주요지점으로는 구례포 해변, 먼동해변, 모재쉼터, 신두리해변, 두웅습지가 있다.

소원길은 2007년 원유유출사고로 아픔을 겪었던 장소다. 130만 자원봉사자와 지역주민의 땀과 노력으로 제 모습을 찾은 곳이다. 신두리해변에서 시작해 만리포까지 이어지는 22km의 소원길은 조선시대 성곽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소근진성, 고깃배가 오가는 의항항, 세계 아름다운 수목원으로 인증된 천리포수목원을 만날 수 있다.

넓고 시원한 바다와 울창한 소나무 숲, 넉넉한 풍경의 농어촌 마을은 여행객에게 좋은 휴식처가 될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있습니다.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KISTI의 과학향기]태안편, 신두리 지리여행(Sinduri Geotravel)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BJ과즙세연 TIMELINE

BJ과즙세연과 함께 걸어가는 방시혁 회장 8일 유튜브 채널 'I am WalKing'이 공개한 영상에서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지난 7월 미국 LA 베벌리힐스에서 유명 인터넷방송인 BJ과즙세연과 함께 걸어가는 모습이 포착됐다. 사진은 유튜브 영상 캡처.

  • 다음 뉴스에서 아이뉴스24 채널 구독 하고 스타벅스 커피 쿠폰 받으세요!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