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경기자] 한국금융투자협회(회장 황영기)가 저금리·고령화 시대를 맞아 국내 펀드의 해외투자 촉진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처럼 저금리 상황을 오래 겪은 일본의 경우를 살펴볼 때 해외투자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27일 금투협에 따르면 한국 공모펀드의 국내 투자비중이 높고 해외투자 비중은 일본의 공모펀드와 비교해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일본 공모펀드는 전체 자산의 32.7%(2014말 기준 30조엔)을 해외자산에 투자하고 있으나, 한국 공모펀드는 이 비율이 12.1%(22조9천억원)에 그치고 있었다.
일본 공모펀드의 해외투자는 해외채권 위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2011년 이후 투자금액이 증가하는 추세다. 2014년말 현재 채권투자 중 해외채권이 50.5%(13조엔)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식투자 중 해외주식은 22.8%(5조엔), 수익증권(펀드 오브 펀드 형태) 중에서는 10.2%(2조엔)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지난 1997년에 도입된 월지급식 펀드의 등장 후 이머징·하이일드채권형펀드와 통화선택형 펀드로의 자금이 많이 유입됐다는 설명이다. 월지급식 펀드는 투자 성과를 매월 결산 및 분배를 실시하는 펀드로, 지난 2014년 말 현재 일본 공모 펀드의 61%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공모펀드의 해외투자 현황을 보면, 해외펀드에 대한 비과세혜택이 시작된 2007년에는 32.0%까지 비중을 올라가다가 이후 하락 전환해 2014년말 현재 공모펀드자산의 12.1%를 기록중이다. 일본(32.7%)의 약 3분의 1 수준인 것이다.
해외채권투자 위주의 일본과 달리, 한국은 해외주식투자 중심으로, 2007년에는 61조원까지 치솟았다가 지속 하락해 작년에는 12조9천억원으로 전체 해외투자 중 56.4%를 차지했다. 전체 주식투자 중에는 17.5%의 비중이다.
반면, 해외채권투자는 전체 채권투자액 중 4.7%인 2조8천억원 수준에 머물렀다. 해외펀드에 투자하는 펀드 오브 펀드(Funds of funds)의 경우에만 전체 수익증권자산 중 56.4%인 5조7천억원으로 채권보다 높게 나타났다.
금투협 측은 "국내도 저금리 대안으로 해외투자에 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적절한 분산투자를 위해 해외투자펀드가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있다"며 "펀드의 해외투자관련 세제의 불합리성을 정비하고, 고령인구 수요에 맞는 월지급식펀드 등을 통한 해외투자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국내는 해외투자에서 주식비중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해외주식투자에 대한 과세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면 국내·해외 투자대상간 동일한 과세적용, 해외투자펀드에 이익·손실 합산과세방식 및 분리과세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