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서효빈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1조8000억원 규모의 인공지능(AI) 분야 추가 경정 예산 정부안을 바탕으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국가AI역량 강화방안 후속조치'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로고 [사진=과기정통부]](https://image.inews24.com/v1/34a12952301290.jpg)
이번 후속조치는 지난 15일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됐으며,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전략적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미국·유럽 등 주요국은 수천억 달러를 투자해 AI 기술을 선점하려는 국가 총력전을 벌이고 있으며,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고성능 모델을 구현해 기존 대규모 투자 중심의 경쟁 구도를 흔들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 정부도 AI 기술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고 핵심 인프라를 신속히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지난 2월 20일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차세대 AI모델 개발 △AI 전환 가속화를 3대 추진전략으로 하는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AI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번 추경을 통해 실질적 이행에 착수한다.
AI 인프라 구축은 클러스터링 기반의 첨단 GPU 1만장을 연내 확보하는 데 1조4천600억원을 투입하며, 시급한 국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이 보유한 GPU 2천600장도 추가 임차해 활용할 계획이다.
국산 AI반도체의 조기 상용화를 위한 실증사업도 확대된다. 정부는 2025년 예산을 298억원에서 752억원으로 증액해 국산 뉴럴프로세싱유닛(NPU)의 상용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AI컴퓨팅 상용서비스에 최적화된 국산 NPU 실증 인프라를 구축하고, 온디바이스 AI 및 해외 실증 등 신시장 개척 지원도 강화한다. 설계 소프트웨어, 제품 제작, 검증 등 스타트업의 사업화 전 과정을 직접 지원하며, 올해 국가AI컴퓨팅센터가 선정되면 해당 센터에 국산 AI반도체를 본격 도입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민간 AI컴퓨팅 인프라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도 정비한다. 정부는 지난 3월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해 AI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했으며, 향후 하위법령 개정을 통해 전략기술의 범위를 구체화할 예정이다. AI 데이터센터 민간투자 확대를 위한 입지·시설·전력 관련 제도 개선도 함께 추진된다.
차세대 AI모델 개발을 위해선 'World Best LLM 프로젝트'가 본격 추진된다. 총 1천936억원을 투입해 유망 국내 AI 기업을 중심으로 최대 5개 정예팀을 선정하고, 최대 3년간 GPU·데이터·인재 등 핵심 자원을 집중 지원한다. 성과 기반의 경쟁형 연차 평가를 통해 우수팀에 더 많은 자원을 배분해 글로벌 수준의 성과를 유도할 계획이다.
AI 인재 확보와 양성도 본격화된다. 하반기에는 혁신 인재들이 실력을 겨루는 '글로벌 AI 챌린지'가 열리며, 100억원이 투입된다. 해외 최고급 연구자를 유치하는 'AI Pathfinder 프로젝트'도 신설돼, 선정된 연구자에게는 3년간 최대 연 20억원이 지원된다. 아울러 AI융합(AI+과학기술) 분야 글로벌 최고 수준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해, 국내외 박사후연구원 400명에게 최고 수준의 처우를 제공하고 집단·융합연구도 함께 지원한다.
AI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모험자본 투자도 확대된다. 민관이 함께 조성 예정이던 900억원 규모의 'AI 혁신펀드'는 2천억원으로 늘어나며, 이에 맞춰 2025년 정부 예산도 450억원에서 1천억원으로 증액된다. AI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특구 내 AI·AX 딥테크 기업을 육성하는 전용 트랙도 신설된다. 해당 예산은 401억원에서 451억원으로 확대된다.
유상임 장관은 "AI 주도권을 두고 전 세계가 촌각을 다투는 상황에서 이번 추경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중대한 결정"이라며 "1년이 늦어지면 경쟁력은 3년 뒤처진다는 절박한 각오로 추진 과제를 철저히 준비해, 대한민국이 AI G3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