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기술 없으면 소버린AI 아냐" LG CNS, AI 경쟁력 '플랫폼'에 방점 [AI브리핑]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진요한 LG CNS AI센터장(상무)인터뷰 "AI 기반 업무 에이전트 개발 본격화"

[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진요한 LG CNS AI클라우드사업부 AI센터장(상무)은 소버린 AI와 관련해 “단순히 데이터가 국내에 있다는 것만으로는 자립이라 보기 어렵다”는 견해를 내놨다. “기업, 국가의 용어와 문화까지 이해하는 모델, 이를 기반으로 AI 플랫폼과 모델을 직접 설계하고 튜닝할 수 있어야 진정한 자립"이라는 것이다.

진요한 LG CNS AI클라우드사업부 AI센터장(상무). [사진=LG CNS]
진요한 LG CNS AI클라우드사업부 AI센터장(상무). [사진=LG CNS]

진 센터장은 최근 진행한 아이뉴스24와 인터뷰에서 생성형 AI의 핵심 경쟁력으로 '플랫폼'을 언급하며 소버린 AI에 대한 개념을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기업에 생성형 AI를 적용하는 것은 단순히 모델을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면서 "기업 환경에 맞게 유기적으로 활용하도록 돕는 플랫폼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현재 LG CNS AI센터는 △연구(R&D) △플랫폼(Infra) △딜리버리(사업) 세 축으로 구성했다. AI 기술 개발부터 실제 적용까지 전 과정을 고려한 조직 구성이다. 진 센터장은 "기술과 비즈니스가 따로 놀지 않도록 연구 조직도 고객을 직접 만나고, 사업팀도 기술을 이해하는 구조로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핵심은 기업 맞춤형 ‘엔드투엔드 AI 플랫폼’이다. 자체 생성형 AI 플랫폼 'DAP GenAI'를 중심에 두고, 고객 환경에 맞춰 챗GPT, 클로드, 라마 등 주요 글로벌 LLM은 물론 LG AI연구원의 ‘엑사원’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는 멀티LLM 구조를 갖췄다. 고객 시스템, 문서 구조, 보안 정책, 비용 구조 등 실제 환경을 고려해 적용한다는 점에서 단순 모델 제공과는 차별화된다.

진 상무는 “모델에 종속되지 않고 고객 환경에 가장 적합한 모델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것이 우리의 강점”이라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성능 검증을 통해 최적 조합을 만든다”고 말했다.

진 상무는 생성형 AI 시장이 이제 ‘페이즈1’을 지나 ‘페이즈2’로 진입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1단계는 기업들이 ‘어떤 모델을 쓸지, 보안과 문서 권한, 비용은 어떻게 관리할지를 고민하던 시기였다면, 2단계는 ‘에이전틱 AI’가 본격화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제는 단순히 질문을 던지고 답을 받는 수준을 넘어 업무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자동화하는 일종의 ‘디지털 인턴’처럼 일하는 AI가 등장할 것”이라며 "LG CNS도 AI 기반 업무 에이전트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LG CNS는 금융권 공략을 위해 특화 LLM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캐나다 유니콘 기업 코히어와 협력해 한국어 기반의 금융 특화 모델을 연내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진 상무는 “생성형 AI는 정확성과 맥락이 중요한 분야일수록 더 세밀한 튜닝이 필요하다”며 “단순 API 호출이 아니라, 도메인 맞춤형 AI를 고객 환경에 맞게 녹여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진 상무는 국내 AI 발전과 글로벌 진출에 대한 비전도 밝혔다. 그는 "한국 대기업이 엑사원 같은 모델을 개발한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라면서도 "더 중요한 건 이 모델이 프랑스어나 일본어처럼 다른 언어권에서도 잘 작동하는 것"이라며, 폐쇄적 관점보다 글로벌 확장성을 강조했다.

AWS, MS 등 외국계 클라우드 기업들의 국내 공공 시장 진출에 대해서는 “일본처럼 디지털 전환을 적극 추진하는 나라에서는 결과 중심으로 열정 있는 기업이 더 많은 기회를 얻는 것도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균형 잡힌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진 상무는 서울대 생물교육학 학사, 텍사스 주립대 컴퓨터공학 석·박사 출신이다. 20th Century Fox(Myspace)와 탭조이, SK텔레콤, 이마트 등을 거쳐 2023년 12월부터 LG CNS AI센터를 이끌고 있다.

/윤소진 기자(sojin@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기술 없으면 소버린AI 아냐" LG CNS, AI 경쟁력 '플랫폼'에 방점 [AI브리핑]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