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6·27대책(가계부채 관리 방안) 발표 이후 2주간 신고가 거래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직방이 지난달 27일 이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7부동산 대책 발표 후 2주간(6월 27일~7월 10일) 거래량 1312건 중 최고가 거래량은 300건으로 집계됐다.
대책 발표 전 2주동안(6월 13일~6월 26일) 총 4693건의 거래 중 1141건이 최고가 거래였던 것을 감안하면 74%나 줄어든 것이다.
![[표=직방]](https://image.inews24.com/v1/965fa55a492bfe.jpg)
전체 거래건수 대비 최고가 거래량 비중도 22.9%로 발표 전보다 1.4%포인트(p)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마포, 성동, 강동 등 대책 전 최고가 거래가 많았던 지역에서 최고가 거래가 눈에 띄게 줄었다. 대책 전 2주동안 최고가 거래량이 139건으로 가장 많았던 성동구는 대책 후 22건으로 84% 감소했다. 성동구의 텐즈힐2단지(7건→2건), 옥수파크힐스(13건→1건) 등 대단지 위주로 최고가 거래가 간간이 이뤄지는 모습이다.
대책 발표 전 137건이었던 마포구의 최고가 거래량은 대책 후 최고가 거래량이 18건으로 집계되며 87%가량 감소했다. 대책 전 최고가 거래가 가장 많았던 마포래미안푸르지오3단지(7건)와 공덕자이(5건) 등은 대책 이후 최고가 거래가 없었다. 래미안밤섬리베뉴II(6건→1건), 신촌숲아이파크(3건→2건) 등이 최고가로 거래됐다.
강동구의 최고가 거래량도 대책 후 23건으로 80% 감소했다.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8건→2건), 래미안솔베뉴(8건→2건) 등 신축 랜드마크 위주로 최고가 거래가 이뤄졌다.
대책 전 112건의 최고가 거래가 있었던 강남구는 대책 후 41건으로 줄며 63% 감소했다. 래미안대치팰리스, 개포주공5단지 등 최고가 거래가 이뤄졌던 주요 단지에서 최고가 거래가 전무했다.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으로,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줄었다.
강남3구의 경우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묶여 있어 계약은 대책 후 이뤄졌더라도 토지거래허가 절차 이후 계약을 체결하고 있어 실제 계약을 약정한 시점과 실제 서류 상의 계약일 간의 시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이외에도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강서구(34건→16건), 동대문구(30건→4건) 등 최고가 거래량이 줄었다. 전방위적인 대출규제로 투자심리뿐 아니라 실수요자 또한 관망세로 돌아서며 이들 지역 또한 최고가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여진다.
정부의 강경한 정책 기조에 대책 발표 초기 혼란스러운 분위기는 다소 진정됐다. 주택시장은 강도 높은 규제의 여파로 기존 매물의 호가가 일부 조정되고 매수 문의 자체가 줄어들며 거래는 사실상 멈춰선 상태다.
직방은 "고강도 대출 규제를 담은 대책이 발표 익일부터 즉시 적용되면서 시장은 빠르게 냉각됐다"며 "그 여파로 거래량 및 최고가 거래 또한 크게 감소했다거래량 자체가 줄었기 때문에 최고가 거래가 감소한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최고가 거래는 통상 기존 매수 수요의 상승 기대감과 적극적인 매입 태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최근 최고가 거래 비중의 감소는 기존의 공격적 매수세가 관망세로 전환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이효정 기자(hyoj@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