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최기철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의 계엄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수사 중인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의원들을 통한 사실관계 확정 후 추경호 의원(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소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추 전 원내대표를 정조준한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8일 "이 사건과 관련해서는 어느 당을 불문하고 계엄해제 의견 관련 부분을 전방위로 조사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팀은 전날 우원식 국회의장(더불어민주당)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에 앞서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이 지난달 15일, 국민의힘 소속 당시 비상계엄 해제와 윤 전 대통령 탄핵 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졌던 김상욱 의원(현 민주당)은 같은달 30일 조사를 받았다. 국민의힘 조경태 의원도 오는 17일 참고인으로 나와 조사받을 예정이다. 조 의원과 김 의원은 이른바 '반윤계'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반대하고 탄핵에 찬성했던 의원들이다.
특검팀이 추 의원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다. 우선 비상계엄선포 당일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다. 검경과 특검 조사 등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 22분 추 의원과 1분간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다. 추 의원은 앞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는 사실을 전하며, 미리 얘기하지 못했다고 말했다"며 "대통령이 상황을 설명하고, 짧게 통화가 끝났다"고 설명했다.
그 뒤 우 의장이 추 의원에게 전화해 "오전 1시 30분에 본회의를 개최하겠다"고 했고, 다시 전화로 "개의시각을 30분 더 앞당겨 오전 1시에 개최하겠다"고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추 의원이 '국민의힘 의원들이 국회 통제로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며 본회의 연기를 요청했으나 우 의장은 4일 오전 1시 3분에 본회의를 개의한 뒤 계엄해제 요구안을 가결했다. 특검은 우 의장을 상대로 추 의원과의 통화 경위 및 내용을 조사했다.
비상계엄선포 직후 국민의힘 의원 상당수가 당사에 모여 있었던 점도 특검이 주목하는 점이다. 한동훈 당시 당대표는 SNS에 비상계엄 반대와 해제 입장을 분명히 하고 의원들을 국회로 소집했다. 추 의원은 서울 모처에 있다가 비상계엄선포 사실이 언론을 통해 전파되자 비상의원총회를 열겠다고 전파 했다. 처음에는 국회로 의원들을 모았다가 다시 당사로 변경하는 등 총회 장소를 수시로 바꿨다.
이러는 사이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안 표결이 진행되고, 결국 친한계 의원 18명만 참석했다. 그 시간 40여명의 다른 의원들은 여의도 당사 등 국회 주변에 모여 있었다고 한다. 추 의원은 국회 내 원내대표실에 머물면서도 비상계엄 해제안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다.
민주당은 물론 국민의힘 내에서도 추 의원이 한 전 대표와 다른 목소리를 내 의원들의 혼란이 증폭됐다는 비판이 나왔다. 표결을 방해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도 불거졌다.
추 의원은 그러나 모두 부인하고 있다. 대통령과 통화 후 당사에서 국회로 의총 장소 변경을 통보하고 국회로 직접 이동했으며, 계엄선포 계획을 사전에 인지 한 바 없다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지난 5월 18일에는 해명자료를 내고 "일각의 의혹 제기처럼 대통령이 계엄해제 결의안 표결 방해를 지시했고 이를 실행하려 했었다면 국민의힘 당사에서 대통령과 통화한 직후 국회로 의총 장소를 변경하지도 않았어야 했고, 당사에 계속 머물면서 국민의힘 의원들을 당사로 모이게 했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비상계엄해제 당일 표결에 불참한 이유에 대해서는 "개인적 판단"이라면서도 "저는 계속 (국회 밖) 당사에 있는 의원들과 소통하고 의원들의 뜻을 기초로 해서 의원들의 입장을 전해야 하기 때문에 소통을 하기 위해 (본회의장에) 들어가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https://image.inews24.com/v1/b25b37dc62de8d.jpg)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