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제5차 전당대회에서 최종 후보로 확정된 뒤 기뻐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https://image.inews24.com/v1/1cc93c23a23a6e.jpg)
[아이뉴스24 유범열 기자]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의 단일화를 둘러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당 지도부 간 갈등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전날(5일) 김 후보가 제시한 단일화 선결조건을 당이 수용하면서 일단락되는 듯했던 갈등은, 지도부가 10~11일 전당대회 소집을 공고하자 김 후보가 이를 문제 삼으면서 다시 불씨가 되살아났다.
김 후보는 6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당이 의제와 안건도 공개하지 않고 전국위와 전당대회 소집을 공지했다"며 "당은 전국위원회, 전당대회를 개최한 이유를 분명하고 명확하게 밝혀주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김 후보는 "국민의힘은 민주적 절차에 따라 여러 차례 치열한 경선을 진행했고 그 결과 김문수가 당원과 국민의 뜻에 따라 정당한 국민의힘 후보로 선출됐다"며 "5일 오후 8시 후보는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를 면담했고 단일화 추진과 후보 지원을 위한 당의 협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어 "당은 후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현재까지도 후보를 배제한 채 일방적 당 운영을 강행하는 등 사실상 당의 공식 대선후보로 인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김 후보는 "더욱이 당은 단일화를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필수적인 선거대책본부 구성과 당직자 임명에도 아직 협조하지 않고 있다"며 "심지어 후보가 주도해야 할 단일화 추진 기구도 일방적으로 구성하고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가운데 당은 의제와 안건도 공개하지 않고 전국위와 전당대회 소집을 공고했다. 전국위와 전당대회는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절차로 판단된다"며 "당은 8~9일 전국위원회, 10~11일 전당대회를 개최한 이유를 분명하고 명확하게 밝혀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김 후보는 "당에서 단일화 과정을 어렵게 만드는 상황이 계속 발생하는 사실, 의구심을 짙게 하는 당의 조치들 때문에 단일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점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도 말했다.
김 후보 측은 당 지도부의 전대 소집이 후보 교체를 위한 당헌·당규 개정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제5차 전당대회에서 최종 후보로 확정된 뒤 기뻐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https://image.inews24.com/v1/61e93e5e5daa93.jpg)
반면 이양수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국위·전당대회 소집 공고와 관련해 "전당대회는 5일 전에 소집해야 한다. 전당대회 소집을 안 해두면 단일화를 해놓고도 우리 당 후보가 안 돼서 선거관리위원회에 후보 등록을 못하는 사태가 벌어진다"며 "이 사태를 만들어선 안된다고 해서 5일 전인 어제 전당대회 소집을 비대위에서 의결해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전국위는 전당대회를 못 열 경우 대체할 수 있다. 만에 하나 혹시나 해서 잡아둔 것"이라며 "전국위는 3일 전에 소집할 수 있다. 어제 의결했으니 8일부터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두 사람 간 단일화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보는 지도부는 한 예비후보가 단일화에서 이긴 후 당의 후보로 만들기 위해선 전당대회 개최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일단 전대를 소집해 놓은 것이란 입장이다.
이 사무총장은 "이건 행정절차인 것이지 (김 후보) 입장문에 나와 있는 것처럼 당헌당규를 개정하려고 한 건 아니라는 말씀을 드린다"며 "당헌당규 개정 절차는 검토 안 해봤기 때문에 가능한지 아닌지 알 수가 없다"고 했다.
이날 오전 10시 열릴 예정이었던 단일화 1차 회의도 김 후보 측의 불참으로 무산됐다. 이 사무총장은 "유상범 단일화추진위원장이 회의를 소집했고 한 후보 측은 참석 대기 중이었지만, 김 후보 측에서 거절했다"고 밝혔다.
당 주도의 단일화 협의에는 참여 의사가 없다는 입장인 김 후보는 이날 오후 포항, 경주, 대구 등 영남권을 돌며 당심 확보에 나선다. 지도부는 오후 의원총회를 열어 '버티기'에 나선 김 후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유범열 기자(heat@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