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전 세계 씹어 먹은 '케데헌', 왜 인기 폭발한 거야?"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아이뉴스24 설래온 기자]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 케데헌)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공개 두 달도 채 지나지 않아 누적 시청 수 1억3240만 뷰를 기록하며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많이 본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로 등극했고, 전 세계 영화 순위 2위에 오르는 등 글로벌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흥행의 중심에는 케이팝의 매력을 잘 살린 음악이 있다. 가상 케이팝 걸그룹 헌트릭스의 대표곡 'Golden'은 빌보드 Global 200과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석권하고 미국 Hot 100 차트 2위, 캐나다 Hot 100 차트 7위에 오르는 성과를 올렸다.

가상 보이그룹 사자보이즈의 'Your Idol'은 미국 스포티파이 데일리 차트에서 케이팝 보이그룹 최초로 1위를 차지했다. 또 이들의 사운드트랙 앨범은 빌보드 사운드트랙 차트 1위, 빌보드 200 차트 2위에 오르며 수록곡 7곡이 동시에 빌보드 Hot 100에 진입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특히, 헌트릭스는 가상 그룹 최초로 빌보드 Hot 100에 세 곡을 동시에 올리는 진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음악 제작에는 케이팝 주요 프로듀서들이 대거 참여했다. 프로듀싱에는 더블랙레이블의 테디, 24, ido, 제나 앤드루스, 린드그렌 등이 이름을 올렸으며, 안무는 '스트릿 우먼 파이터'에 출연한 리정과 잼 리퍼블릭이 맡아 완성도를 높였다.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케데헌은 극 중 노래가 큰 인기를 끌었고, 그 배경에는 화려한 제작팀 라인업이 숨어 있다. 사진은 헌트릭스. [사진=넷플릭스]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케데헌은 극 중 노래가 큰 인기를 끌었고, 그 배경에는 화려한 제작팀 라인업이 숨어 있다. 사진은 사자보이즈. [사진=넷플릭스]

보컬 녹음에는 EJAE, REI AMI, 오드리 누나가 참여했고 사자보이즈의 곡에는 앤드류 최, 넥웨이브, 대니 정, 케빈, samUIL Lee 등 한국인 혹은 한국계 아티스트들이 다수 참여했다.

여기에 엑소, 멜로망스, 듀스 등 실제 케이팝 히트곡들도 OST로 삽입돼 친숙하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노래뿐 아니라 현실 케이팝 아이돌을 모티프로 한 캐릭터 설정 역시 흥행에 한몫했다. 헌트릭스는 ITZY, 블랙핑크, 트와이스를 모델로 삼았고 사자보이즈는 BTS,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스트레이키즈, 에이티즈, 몬스타엑스 등 여러 팀의 이미지가 반영됐다. 특히 사자보이즈 리더 진우는 배우 차은우와 남주혁에서 영감을 받은 캐릭터로, 실제 배우 안효섭이 목소리를 맡아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또 사자보이즈 캐릭터는 현실 아이돌의 덕질 구조를 그대로 반영해 팬덤 전략을 구축하기도 했다.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BTS 진이 지난달 1일 서울 강남구 도산공원에 위치한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알로(alo)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열린 포토행사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예를 들어 멤버 베이비는 동안 외모에 굵은 랩 톤이라는 반전 매력으로 인기를 끌었고, 미스터리는 장발과 신비주의 콘셉트로, 애비는 근육질 몸매와 섹시한 이미지로 주목받았다. 이 같은 설정 때문에 이들의 실사화 AI 영상이 온라인상에서 확산하면서 팬들 사이에서 닮은꼴 연예인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기도 했다.

스토리도 큰 매력으로 다가왔다는 반응이 많다. 주인공 루미가 정체성과 자아를 받아들이며 성장하는 서사는 'This is Me'(위대한 쇼맨), 'Let It Go'(겨울왕국), 'Speechless'(알라딘) 'How Far I'll Go'(모아나), 'Reflection'(뮬란) 등 디즈니식 성장 서사를 연상시키며 글로벌 관객의 공감대를 끌어냈다는 것이다.

시기적 요인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방탄소년단 전원이 군 복무를 마치고 복귀한 시점에 맞물려 케이팝 팬들의 활동이 더욱 활발해졌고, 여름 방학과 휴가 시즌이 겹치면서 가족 단위 시청 수요가 폭발했다. 이 때문에 케이팝이나 애니메이션에 큰 관심이 없던 중년 남성층도 주변의 권유나 호기심으로 작품을 접한 뒤 '입덕'했다는 해외 매체 보도도 나오고 있다.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온라인 챌린지 영상이 케데헌 인기에 불을 지폈다. 영상은 보넥도, 투어스 소다팝 챌린지. [영상=보넥도, 투어스 공식 인스타그램]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헌트릭스는 한국 전통 무기를 사용해 주목받기도 했다. [사진=넷플릭스 ]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헌트릭스 멤버들이 소파에 등을 대고 바닥에서 김밥과 어묵, 컵라면 등을 먹고 있다. [사진=넷플릭스]

작품 전반에 드러난 한국적인 요소들도 보는 맛을 더했다. 데몬 헌터들이 착용한 노리개, 조선시대 전통 무기인 사인검, 임진왜란 때 사용된 유물 쌍검, 한국 전통 활, 저승사자와 도깨비를 재해석한 악령 캐릭터 등은 한국의 전통과 정서를 스토리에 녹여냈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이에 더해 대중 목욕탕, 한의원, 수저 밑에 까는 휴지, 등산복 입은 팬클럽 등의 디테일도 외국인 관객에게 신선한 문화적 재미로 작용했다.

바이럴 마케팅도 흥행에 일조했다. 헌트릭스의 'Golden'을 마마무 솔라, SES 바다, 에일리 등 수준급 노래 실력을 지닌 가수들이 커버하며 온라인에서 확산했고, 사자보이즈의 'Soda Pop'은 보이넥스트도어, 제로베이스원, 라이즈, 투어스 등 보이그룹 커버와 함께 틱톡에서 '캔따기 안무' 챌린지로 유행하며 43만 회 이상의 사운드 사용 수를 기록했다.

케데헌은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주류로 인정받는 디즈니나 지브리가 아닌, 넷플릭스와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공동 제작한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콘서트 조명, K-드라마 스타일의 컷, 애니메이션 액션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독립적 시각미는 "마블이나 디즈니와는 전혀 다른 스타일"이라는 호평을 받고 있다.

더불어,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나 홍콩에서 자란 이소룡이 처음으로 동서양 문화를 융합한 콘텐츠를 만든 이래 동양의 히어로는 오랫동안 주류에서 소외돼 왔다. 하지만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의 성공을 거쳐 이제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그 계보를 잇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케데헌은 기존에 있던 가상 아이돌의 계보를 잇는다. 사진은 나비스. [사진=SM 엔터테인먼트]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케데헌은 기존에 있던 가상 아이돌의 계보를 잇는다. 사진은 플레이브. [사진=플레이브 인스타그램]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은 저승사자 애비. [사진=넷플릭스]
케데헌은 기존에 있던 가상 아이돌의 계보를 잇는다. 사진은 KDA. [사진=라이엇]

사실 이들의 성공은 갑작스러운 현상이 아니다. 이미 가족 뮤지컬 영화 '겨울왕국'의 성공을 비롯해 가상 세계 아이돌인 '플레이브'의 인기도 그 전조였다. 인기 걸그룹 에스파는 '나비스'라는 가상 아바타를 기반으로 한 세계관을 정착시켰고, 인기 게임 리그오브레전드의 가상 걸그룹 'K/DA'는 콘셉추얼한 뮤직비디오와 케이팝 스타일 음악으로 글로벌 인기를 견인했다.

이와 함께 '데몬'(악귀, 악마)이라는 존재 자체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흥미로운 소재다. 샤머니즘이 강한 아시아권은 물론, 서양에서도 '컨저링 시리즈' '콘스탄틴' '엑소시스트' '유전' '판의 미로' 등 데몬을 다룬 영화가 꾸준히 인기를 끌어왔다. 이러한 흐름이 익숙함 속에서 신선함을 만들어 케데헌 흥행에 불을 지폈다는 분석이다.

한편 넷플릭스는 케데헌의 흥행을 발판으로 속편 2편은 물론, 실사 영화와 뮤지컬 등 후속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아울러 미국 특허상표청(USPTO)에 상표권을 출원하는 등 브랜드 확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 때문에 해당 작품은 단순한 애니메이션을 넘어 K-콘텐츠의 소프트파워를 전 세계에 각인시킨 대표 사례로 꼽히며, 글로벌 문화 시장에서 한국의 위상을 입증한 상징적 콘텐츠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설래온 기자(leonsign@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전 세계 씹어 먹은 '케데헌', 왜 인기 폭발한 거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