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예진·박채오 기자] 부산광역시의 한 국회의원실에서 근무 중인 K보좌관이 과거 자신이 거주하던 기초지자체에 수년간 민원을 집중적으로 제기해 관련 부서 공무원들이 심각한 업무 스트레스에 시달렸던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일부 공무원은 병가를 내거나 부서를 옮기는 등 조직 전반에 피해가 확산됐다는 증언도 나오고 있다.
8일 <아이뉴스24> 취재를 종합하면 K보좌관의 민원은 지난 2019~2020년부터 시작됐으며, 2022년 이후 폭증해 사실상 ‘민원 폭탄’ 수준에 이르렀던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 2022년부터 2024년 6월까지 확인된 관련 민원 건수는 500여건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구청 직원 A씨는 “매일 출근하면 K보좌관 이름으로 접수된 민원이 6~7건씩 대기 중이었다”면서 “대부분 도시재생 사업을 둘러싼 내용으로, 과거 사업에 참여했던 인물들을 향한 노골적인 비판이나 공격성 주장이었다”고 전했다.
민원은 국민신문고, 정보공개청구, 국민권익위원회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접수됐으며, 사업 관련 외부 전문가나 용역업체를 실명으로 언급하거나 압박성 표현이 담긴 경우도 있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관계자들은 “정상적인 문제 제기를 넘어선 악성 민원 수준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민원 내용은 본인이 관여했던 사업의 예산·보조금 집행 등 금전적 사안에 집중됐으며 사업이 자신의 뜻대로 추진되지 않자 이를 빌미로 반복적 민원으로 압박을 가하는 형태로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사업 계획과 실제 진행 사이에 조금의 차이만 있어도 표현 하나하나를 문제 삼아 민원이 제기됐고, 이 과정에서 특정 개인을 향한 공격성 주장이 담기는 등 정상적인 감시를 벗어난 집착 수준의 대응이었다는 게 당시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K보좌관은 지난해 부산 지역 국회의원의 보좌관으로 임용됐다. 해당 부서 직원들에 따르면 보좌관직 임용 이후 관련 민원은 “거짓말처럼 사라졌다”는 반응이다.
일각에서는 K보좌관이 과거 조합 활동 시절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추진되지 않자 민원을 압박 수단으로 활용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보좌관 임용 전까지 민원 활동을 지속하며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A씨는 “감시와 문제 제기는 제도적으로 보장돼야 하지만 수백 건의 반복적 민원은 담당자의 정상적인 업무를 마비시킬 수 있다”며 “특히 민원 과정에서 특정 개인이나 외부 인사를 겨냥한 비방성 표현은 명백히 선을 넘은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당시 구청은 민원이 다수 부서로 확산되자 내부 대책 회의를 열고 대응에 나섰지만 실질적인 보호 조치는 마련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구청직원인 B씨는 “악의적 민원으로 인한 정신적 피해가 분명했지만 담당자들이 전보를 가거나 자발적으로 참는 것 외에 별다른 방법은 없었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해 K보좌관은 “시민으로서 잘못된 행정의 개선을 위해 의견을 제시했을뿐”이라며 “(그)잘못된 부분은 (내가 제기 한)민원으로 인해 현재의 개선사항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정예진 기자(yejin0311@inews24.com),박채오 기자(chego@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