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윤선훈기자] 제조업의 경우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규제완화에 따른 투자·고용 촉진효과가 더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8일 '규제비용이 기업 투자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 동태 CGE 모형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한경연이 제조업 분야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기업군을 대상으로 규제완화에 따른 50년 후 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의 규제비용이 50% 감소하면 50년 후 투자와 축적 자본량은 각각 기준 성장 경로(초기 장기 균형 성장률 2.7% 가정) 대비 24.2%포인트 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률은 초기 장기 균형 실업률(3.7% 가정) 대비 0.39%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중소기업의 규제비용이 50% 감소하면 50년 후 전체 투자와 자본량은 기준 성장경로 대비 각각 16.4%포인트 상승하고 실업률은 0.27%포인트 하락했다.
또 제조업 부문 전체 기업의 규제비용이 50% 감소하면 50년 후 전체 투자와 자본량은 기준 성장경로 대비 각각 39.4%포인트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50년 후 실업률은 초기 장기 균형 실업률 대비 0.64%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전 산업의 조세가 50% 감면되면 50년 후 전체 투자와 자본량은 기준 성장경로 대비 각각 29.8%포인트 더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업률은 초기 장기 균형 실업률에 비해 0.47% 포인트 하락했다.
정재원 한경연 연구위원은 "최근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규제완화를 통해 투자와 고용을 촉진시키는 정책을 시행하는 등 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로 인해 많은 국가들이 경제 성장의 핵심요소인 투자와 고용을 확대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연구위원은 "이들 국가와 달리 우리나라는 여전히 시장규제 정도가 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으로 분류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해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OECD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3년을 기준으로 터키, 이스라엘, 멕시코에 이어 네 번째로 시장 규제가 심한 나라로 분석됐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