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감원이 발표한 '보험회사 해외 대체투자 현황 및 향후 감독방향'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 보험사 해외 대체투자 규모는 70조4천억원으로 총자산(1천87조원)의 6.5% 수준으로 나타났다.
주로 직접 투자가 아닌 펀드 매수 등의 간접 방식으로 투자가 이뤄졌다.
대체투자 유형은 부동산 관련 투자 24조1천억원(34.2%), 사회간접자본(SOC) 20조원(28.4%), 기업 인수·구조조정 관련 투자 9조3천억원(13.2%) 순이었다.
투자대상은 오피스 10조9천억원(15.5%), 발전·에너지 8조5천억원(12.1%), 항공기·선박 4조9천억원(7.0%), 사모펀드(PEF) 등 인수금융 4조9천억원(7.0%)으로 나타났다.
투자지역은 미국 26조8천억원(38.1%), 영국 6조5천억원(9.2%), 프랑스 2조7천억원(3.8%), 기타 유럽 6조8천억원(9.7%) 등 주로 선진국에 분포했다. 오피스·호텔·복합시설 등에 투자하는 해외 부동산 투자(24조1천억원)의 63.4%(15조3천억원)가 미국에 집중됐다.
신규투자는 지난 2018년 15조5천억원 이후 축소되고 있으며, 특히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영향등으로 6조6천억원을 기록하는 등 크게 감소했다.
투자 잔액의 68.3%(48조1천억원)가 오는 2030년 이후 만기 도래하는 등 10년 이상 장기 투자로 단기 경기변동에 따른 영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같은 기간 보험사의 해외 대체투자에 따른 이자·배당수익은 2조원(3분기 중 6천억원)에 달하며 이익을 실현했다.
다만 코로나19 영향에 따라 해외 부동산·항공기 투자의 펀드 가치 하락 등으로 일부 자산에서 총 1천944억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등 손실 확대 가능성이 상존하는 상황이다.
차주 부도, 공사지연·중단 등 부실 징후가 있는 자산은 2천721억원(해외 대체투자의 0.4%) 가량이었고, 금리인하 및 만기연장, 임대료 감액 등 투자조건 조정으로 당초 기대수익 대비 수익성이 악화된 자산은 1조원(해외 대체투자의 1.4%)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금감원은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해외 대체투자 자산의 손실 발생과 이에 따른 보험사의 건전성 영향에 대한 관리 및 감독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해외 대체투자에 중점을 둔 보험사 대체투자 리스크관리 모범규준을 마련 및 시행하겠다"며 "경기 침체 장기화 등 손실 발생에 대비할 수 있도록 대체투자 건전성 평가·점검 및 취약회사에 대한 관리를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그간 실시한 보험사 자체 점검결과 파악된 우수사례 등을 기초로 올해 상반기 안에 해외 대체투자에 중점을 둔 리스크관리 모범규준을 마련하고, 현지실사와 고 주택담보인정비율(LTV) 등 고위험 대체투자 등에 대한 심의절차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구체화해 실무적 활용도를 제고하기로 했다.
또한 동일 투자에 대한 보험사별 건전성 분류 및 손실 인식차이 등을 점검하고 부실징후 등을 고려한 유가증권 건전성 평가 등을 지도할 방침이다. 외부감사인의 결산감사시 대체투자 자산에 대한 엄정한 공정가치 평가, 손실인식, 적정 충당금 적립 등 점검 강화도 요청할 예정이다.
이밖에 대체투자 비중이 높고 내부통제가 취약한 보험사의 대체투자 전 건에 대해 매월 건전성 현황 및 부실여부를 집중관리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정기적 현황파악을 위해 대체투자 업무보고서를 신설 및 운영하고 있으며, 보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업무보고서 개정을 추진 중이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