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조석근 기자] 2019년 4월부터 만 2년간 끌어온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의 글로벌 배터리 분쟁이 극적인 합의를 이뤘다. LG엔솔이 당초 SK이노측에 요구한 금액보다 크게 줄어든 2조원 선에서 합의금이 결정됐다.
SK이노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10년간 수입금지라는 초강경 제재를 피하는 한편 LG측이 제기한 모든 소송으로부터 부담을 벗게 됐다. ITC 수입금지 조치에 대한 미국 백악관의 거부권 행사시한 하루 전 양사가 한걸음씩 양보하면서 치킨게임처럼 치닫던 글로벌 배터리 양강의 충돌도 종식됐다.
LG엔솔과 SK이노는 11일 이같은 양사간 주요 합의내용을 공개하며 국내외 모든 소송을 취하한다고 밝혔다. SK이노는 LG엔솔에 현금 1조원, 로열티 1조원 등 총 2조원을 LG엔솔측 피해에 대한 보상 합의금 차원에서 지급한다. 양사는 또한 향후 10년간 추가적인 법적 쟁송을 진행하지 않는데도 합의했다.
이날 합의문에서 가장 관심을 모은 대목은 합의금 규모다. LG엔솔은 2019년 4월 미국 ITC에 SK이노측을 영업비밀 침해로 제소한 이후 미국 연방법원, 국내 법원에도 연달아 SK이노를 제소했다. SK이노측도 LG엔솔을 특허침해, 과거 합의파기 등으로 맞소송을 제기하면서 양사는 현재 10여건의 국내외 소송을 진행 중이다.
LG엔솔은 소송 초반부터 SK이노측에 3조원 규모의 배상안을 제시했다. 영업비밀 침해 관련 이례적으로 큰 규모인 만큼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이번 배터리 분쟁에 큰 관심을 나타낸 배경이다. 반대로 SK이노측이 1조원대 합의금을 고수하면서 줄곧 양사 입장은 평행선을 달렸다.
업계 관계자는 "정유화학이 주력인 SK이노베이션의 지난해 매출액 중 배터리 부문 비중이 2조원대"라며 "SK이노 입장에선 LG엔솔측의 주장은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번 합의금 규모는 양사의 전격적인 양보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다만 미국, 한국 양쪽에서 진행 중인 두 회사의 소송 가운데 국내에서 SK이노에 대해 산업기술 유출방지보호법 위반 혐의로 경찰의 수사가 진행되는 점은 LG엔솔의 고소 취하와 별개로 경찰의 판단이 필요한 대목이다.
양사의 합의문이 발표된 이날은 미국 백악관의 ITC SK이노 미국 내 10년 수입금지 조치에 대한 거부권 행사시한을 하루 앞둔 날이다. 업계에선 양사간 합의가 백악관의 거부권 행사 가능성과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우 ITC 조치는 그대로 실행수순에 들어간다. 그러나 백악관이 미국 입장에서 해외기업인 LG엔솔, SK이노의 첨예한 분쟁에 개입할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낮다. 양사 모두 미국 내 공장증설을 위해 수조원대 투자를 공언한 상황이다.
미 대통령이 나서 거부권을 행사할 만큼 백악관 및 집권 민주당 차원의 정치적 실익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SK이노측의 미국 사업 철수는 배터리 사업 자체에 심각한 타격으로 폭스바겐, 포드 등 전기차 업체에 대한 위약금 등 적잖은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며 "SK이노가 현실적 방안을 찾은 가운데 LG측도 비판을 의식해 한걸음 양보한 듯하다"고 말했다.
이번 배터리 분쟁과 관련 한미 정부는 물론 전기차 등 관련 업계도 양사간 합의를 최선의 해법으로 거듭 종용했다. 국내에선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1월 "국민에 이렇게 걱정을 끼치면 되느냐. 빨리 해결하라고 권유했는데 아직 해결이 안 되고 있다"며 양사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블룸버그의 경우 "한국 정부와 바이든 정부가 두 회사의 합의 도달에 압력을 가했다"고 최근 분위기를 전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이날 별도 성명을 통해 "LG엔솔과 SK이노의 그간 이차전지(배터리) 관련 분쟁 종결 합의에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또한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 대비해 미래를 위한 준비에 나서야 한다"며 "정부도 이차전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석근 기자(mysu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