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양호연 기자] 최근 포항제철소 수해 복구에 성공한 포스코가 철강 부문의 비상경영을 선언하고 나섰다. 지난해 7월 그룹 차원의 비상경영 체제를 선포·운영한 것과 더불어 철강 부문에서 별도 태스크포스(TF)팀을 가동해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김학동 포스코 대표이사 부회장 [사진=포스코]](https://image.inews24.com/v1/5c9f51ec185c9b.jpg)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 25일부터 철강 부문 비상경영 TF를 꾸려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팀장은 포스코 대표이사인 김학동 부회장이 맡았다.
김 부회장은 이날 임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1천원의 비용이라도 절감하고 1 톤의 원료라도 경쟁력 있게 구매하려는 노력이 절실해지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침수피해 복구를 135일 만에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지만 대내외 여건은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이라며 "수요산업 시황 부진이 지속되면 우리 회사의 생존까지도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포스코는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영향으로 냉천이 범람해 포항제철소 일부가 침수되는 큰 피해를 겪었다. 침수 135일만인 지난 20일 모든 공장 재가동에 성공했지만 대내외 경영여건이 지속 악화해 비상경영을 선포한 것으로 풀이된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7월부터 환율·금리·물가 등 3고(高) 위기 대응을 위해 현금 중심의 비상경영 체제를 유지해왔다.
한편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6.7% 감소한 4조9천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사상 최대였지만 철강 시황 부진과 포항제철소 침수 여파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6.7% 감소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