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권에게 30주년 5·18은 어떤 의미일까. 곳곳에서 빚어진 사건을 두고 봤을 때 5.18 광주 민주화 항쟁에 대한 이명박 정부의 홀대가 지나치다는 주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정부 스스로가 자초한 측면이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2년 연속 기념식에 불참한 데다 국가보훈처가 기념행사를 주관한 2004년 이후 줄곧 기념식 마지막에 불려왔던 광주민주화항쟁 추모곡인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과 5.18 유가족 대표의 '5.18 민주화운동 경과보고' 순서를 삭제한 것이다.
더욱이 국가보훈처는 이명박 대통령 대신 참석한 정운찬 국무총리의 기념식 퇴장 시 경기민요인 방아타령을 연주하기로 해 더욱 반발을 확산시켰다. 언론 보도의 파장이 커지면서 실제 방아타령이 연주되지는 않았지만, 이미 논란은 커진 상태였다.
이 때문에 5.18 유족회 등 5.18 관련 단체들은 이에 항의하며 기념식을 보이콧하고, 유족들이 반발해 항의하는 등 엄숙해야 할 기념식이 파행 운영됐다.
정부의 미숙한 운영은 여당인 한나라당에서도 유감의 목소리가 터져나 올 정도였다. 김무성 원내대표가 이날 광주시당에서 열린 '살려라 경제, 희망캠프' 선대위 회의에서 "기념식장에서 노래 한 곡 부르냐, 안 부르냐를 갖고 분위기를 망친 그 미숙한 조정능력에 대해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저도 80년대 초부터 민주화 운동을 하면서 시위현장에서 매일 불렀던 노래"라면서 "이 노래가 왜 안 되는지 참으로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유감을 표했다.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가 서울광장에서 열린 5.18 민중항쟁 30주년 서울행사 기념식에 축하할 때나 쓰는 화한을 보내는 헤프닝이 일기도 했다. 이는 1시간 만에 조화(弔花)로 바뀌기는 했지만, 논란이 일기는 충분했다.
민주당 우상호 대변인은 이에 대해 "이 숭고한 날, 전 세계 국민들이 지켜보면서 함께 애도하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이 날에 축하화환과 방아타령은 해도 해도 너무했다"며 "정몽준 대표가 시켰을 리는 없지만, 이에 대해 정 대표가 정식으로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고 문제삼았다.
우 대변인은 "많은 분들이 이로 인해 분노하고 상처를 받았다"면서 "이런 작은 사고가 철학과 정신의 부재에서 온다는 점을 지적한다"고 질타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