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남기자] 지난달 22일 일부 지방단체들이 개정된 유통법을 적용, 기업형 슈퍼마켓의 강제 휴무를 실시했다. 당시 서울 종로 광장시장을 찾았다.
마침 휴뮤일이 일요일이라 광장 시장 상가들도 대부분 문을 닫은 상태. 이 곳에서 만난 서승수(53세, 자영업) 씨는 지난 2005년부터 한 인터넷 포털에 우리 농수산물 직거래 장터를 운영하고 있다.
경북 상주가 고향인 그는 고향에서 농사를 짓는 부모를 떠올리며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호 윈윈하는 방법을 찾다, 한 인터넷 포털에 국산 농산물 직거래 카페를 개설했다.
서씨와 온라인 직거래 장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인터넷 상에 우리 농산물 직거래 장터를 개설한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
"특별한 이유는 없다. 고향이 지방이고, 부모님께서 아직도 농사를 짓고 있기 때문에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이익을 볼 수 있는 일을 찾다가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지난 2005년 우리 농산물 직거래 카페를 만들게 됐다."
-개인이 운영하는 카페라면 신뢰성이 도마에 오를수 있지 않나.
"그럴 수 있다. 상업성을 갖고 전자상거래를 영위하는 대형 사업체들은 이중 삼중의 보안장치와 소비자와 판매자 보호 대책을 마련해 놓고 있기 때문에 개인이 개설한 카페는 충분히 그럴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카페 운영자인 본인의 노력과 순수하게 우리 농산물을 사고 파는 농민과 소비자 간 불미스러운 일이 지난 7년여 간 한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운영하는 쇼핑몰에서도 민원이 끊이지 않는데, 개인이 운영하는 카페에서 7년간 민원이 없었다면 대단한 일인데.
"대단치 않다. 카페 운영자인 본인도 일을 하는 짬짬이 아무런 대가 없이 운영하고 있고, 생산자인 농민과 도시 구매자가 역시 우리 농산물 소비를 확대하려는 순순한 마음 때문인지 아직 민원 발생이 없다. 다만, 우리 카페가 배달 완료 후 대금을 송금하는 시스템이다 보니 배달이나 구매 대금 송금이 늦어질 경우 운영자가 서로 불미스러운 일이 없도록 회원을 관리하는 일 정도만 하고 있다.
-그래도 민원이 발생할 것 같은데.
"우리 카페는 농수산물을 직접 길러 판매하는 농민들만이 들어올 수 있다. 만일 농민이 아닌 사람이 상업적인 목적으로 들어 올 경우 운영자는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 철저한 주의를 기울이고 가능한 판매를 못하게 하고 있다. 카페 운영자가 믿음을 바탕으로 소비자와 판매자를 연결해 주고 있다고 보면 된다."
-이 같은 온라인상 직거래 장터가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방법 같은데.
"현재 인터넷 상에는 무수히 많은 직거래 사이트가 생겨나고, 성업 중이다. 우리 농산물 온라인 직거래 장터는 인터넷 전통시장이다. 최근 들어 맞벌이 부부를 위해 대형마트들이 인터넷으로 물건을 구매하면 배달해 주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 농산물 직거래 장터도 이들처럼 시장에 갈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우리 농산물을 대형마트보다, 전통시장보다 더 저렴하게 팔고 있다."
"정부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전통시장 활성화도 중요하지만 농민과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직거래가 더 상호 윈윈하고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정부 지원도 필요하지 않나.
"현 정부가 출범한 지난 2008년부터 농수산물 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직거래 상생자금'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하지만 이는 대형마트에 대한 지원이기 때문에 소규모 영농인에게는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다. 실효성이 떨어진다."
-직거래 상생자금에 대해 자세히 말해 달라.
"정부는 우리 농산물 직거래를 확대, 소비를 늘리기 위해 2008년부터 대형 유통업체에 저리로 농수산물 직거래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5곳의 대형 유통업체에 직거래 지원금으로 2008년 250억원의 4% 저리자금 지원을 시작으로, 2009년 10개 업체 500억원, 2010년에는 12개 업체 603억원을 각각 지원했다."
"하지만 정부의 직거래 매입자금 지원을 받은 대형 유통업체들이 직거래로 매입한 농수산물을 오히려 비싼 가격으로 팔고 있고, 농협·수협 등 대형 업체하고만 거래하고 있어 거래 교섭력이 약한 산지 유통조직과의 실질적인 직거래 증대는 저조하는 등 직거래에 따른 농민소득 증대 효과는 미미하다."
-온라인 직거래 장터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법이라도 있나.
"물류 비용이다. 사실 몇 천원 택배비라도 배달 건수가 늘어나면 농민들에게는 부담이다. 이는 곧 생산비 상승 요인이다. 정부가 전국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는 우체국 망을 활용해 배송 비용을 지원해 준다면 농민은 더 저렴한 가격으로 우리 농산물을 공급할수 있을 것이다. 또 정부도 이들 지원 내역을 과세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어 세수 확대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이들 농민이 전통시장에서 직접 생산한 농수산물을 판매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제공한다면, 전통시장도 활성화되고 농민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신사종 유통기획팀 차장은 "정부는 지난 2008년부터 직거래 상생자금을 대형 유통업체에 제공해 왔다"면서 "일각에서 이들업체에 대한 특혜로 지적하면서부터 작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신 차장에 따르면 생산 현지에는 1∼2조원의 정책 자금이 지원되기 때문에 이들 자금을 활용해 생산한 농수산물을 대형 유통업체가 매입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저리로 자금을 융자했으나, 이 같은 지적에 대형 유통업체들도 부담을 느껴 올해부터는 이 직거래 상생자금이 완전히 사라졌다.
정부는 현지 소규모 유통업체들의 농수산물을 매입을 장려하기 위해 '직거래 매치 자금'을 운용, 저리(3%) 융자를 실시하고 있다.
정수남기자 perec@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