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기자들은 만난 자리에서 신 위원장은 "국민들께서 너무 큰 불안감을 가지고 계셔서 다시 한 번 분명히 설명드린다"며 "일단 이번 사태는 개인정보가 유출은 됐지만 유통은 되지 않은 것으로, 매우 희박한 가능성 때문에 본인 카드가 부정사용 될 것이란 불안감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농협카드가 지난 2012년 12월, 국민카드가 작년 6월, 롯데카드가 작년 12월에 유출됐는데 이후 부정사용 징후가 포착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신 위원장은 "2차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만에 하나라도 피해가 발생하면 카드사가 무조건 배상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신 위원장은 "이번 기회에 금융산업 종사자들에게도 도덕성이라든가 이런 부분을 깊이 생각해달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금융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는 확실하고 근본적 대책을 만들겠다"고 약속도 했다.
금융회사에서 개인정보를 너무 과도하게 요구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신 위원장은 "이번 사건과 별개로 금융정보의 빅데이터 축적과 활용 확대는 맞는 방향이지만, 문제는 '보안'"이라며 "그동안 외부해킹에 관심이 있었지만 이제는 내부통제, 내부직원에 의한 도둑질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정보 관리 관련)소비자보호에 치중하지 못하고 소홀했던 면이 있었는데, (금감원에서 분리 작업중인) 금융소비자보호원을 만들면 감시나 집행, 금융교육 등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 위원장은 이외에도 "책임자 처벌을 강하게 하고, 금융사 CEO에게도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KCB 직원이 이번 정보유출을 했던 문제와 관련해서는 "KCB 직원한테 개인정보를 함부로 접근시킨 카드사한테 1차 책임이 있다"며 "KCB의 책임 문제는 진행 중인 검사 결과 등을 봐야겠지만 TF 대책마련 과정에서 신용정보회사 문제도 같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