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산업 경제
정치 사회 문화·생활
전국 글로벌 연예·스포츠
오피니언 포토·영상 기획&시리즈
스페셜&이벤트 포럼 리포트 아이뉴스TV

[김익현]'망중립성 공방' 유감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김익현기자]망중립성 공방이 뜨겁다. 미국 항소법원이 연방통신위원회(FCC)의 ‘오픈인터넷규칙’ 일부를 무력화한 때문이다. 물 건너 먼 나라 판결이 느닷없이 이 땅을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다.

판결 직후엔 “망중립성 원칙이 무너졌다”는 기사들이 주류를 이뤘다. 하지만 이번 주 들어선 조금씩 논조가 바뀌고 있다. “망중립성을 부정한 판결이 아니다”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그 와중에 이해 당사자들은 저마다 유리한 쪽으로 해석하기 바쁘다. 그 또한 충분히 이해가 된다. '망중립성' 자체가 애당초 미국에서 건너온 것이기 때문이다. '원조'나 다름 없는 미국이 ‘무효 선언'을 할 경우 한국에도 적잖은 파장을 몰고 올 수밖에 없다.

이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망중립성 공방'을 지켜보는 심정이 착잡하기 이를 데 없다. “뭔가 핵심이 빠진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왜 이런 느낌이 들까?” 궁금했다. 그래서 항소법원 판결문을 다시 읽어봤다. 읽으면서 한 가지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추상적 원칙' 못지 않게 '구체적 현실'도 중요한 잣대

결론부터 얘기하고 시작하자. 법원은 추상적인 법 이론을 논하는 곳이 아니다. 현실 속 사람들 간의 다툼을 중재하는 곳이다. 이런 상황은 당연히 판결에도 영향을 미친다. ’원론’ 못지 않게 ‘특수한 상황’도 중요한 잣대로 작용한다는 얘기다. 미국 항소법원의 이번 판결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번 소송에서 중요한 쟁점 중 하나는 FCC가 버라이즌 같은 망사업자(broadband provider)를 규제할 수 있느냐는 부분이었다. 더 구체적으로는 1996년 제정된 ‘통신법 706조’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는 부분이었다. 이 조항이 FCC에 규제 권한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느냐는 것이 핵심 쟁점 중 하나였다.

통신법 706조는 FCC가 지역 통신시장의 경쟁을 촉진하는 수단으로 공익, 편의, 가격 규제 등의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당연히 FCC는 706조가 자신들에게 '오픈 인터넷규칙' 제정 권한까지 부여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버라이즌은 통신법 706조는 일반적인 원칙을 서술해 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맞섰다. FCC에 특별한 권한을 준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주장이다.

법원은 이 부분에 대해 FCC의 손을 들어줬다. 통신법 706조는 FCC에겐 ‘안전규정(fail-safe)’으로 볼 수도 있다는 게 법원 판단이었다. fail safe란 “기계가 고장나서 폭주할 우려가 있을 경우 재해를 막을 수 있는 안전기구”를 의미한다. 마땅한 다른 규정이 없을 경우 FCC가 규제 근거로 쓸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런데 항소법원이 706조 해석을 둘러싼 공방에서 사용한 중요한 잣대가 있다. 고속 인터넷 보급률 확대란 '구체적인' 정책 목표다. 잠시 그 얘기를 해보자.

◆미국 법원, '고속 인터넷 보급' 정책 목표 중요하게 간주

1996년 통신법에선 고속인터넷의 최저 기준을 200kbps 으로 잡았다. 일반 이용자들이 음성, 데이터, 그래픽 등을 큰 무리 없이 주고 받으려면 그 정도는 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FCC는 2010년 “고속 인터넷 보급이 충분하지 않다”고 선언한다. 그 사이 고화질 동영상 등이 대중화된 때문이다. FCC는 이런 이유를 내세워 초고속 인터넷은 4mbps는 돼야 한다고 새롭게 규정했다. 이런 기준을 적용할 경우 미국인 1천400만~2천400만 가량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상황에서 고속 인터넷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선 망 사업자에 대한 규제 권한이 필요하다는 게 FCC의 주장이었다. 물론 통신법 706조는 그 근거 조항이었다.

항소법원은 FCC의 이런 대의명분에 동의했다. 고속 인터넷 보급 확산을 위해선 망 사업자의 ‘독주’를 견제해야만 한다고 판단했다. ‘추상적 원론’ 못지 않게 '구체적 정책 목표’가 중요한 잣대로 작용했다는 걸 알 수 있다.

이 글에서 내가 하고 싶은 얘기도 이 부분이다. 미국 법원 판결은 미국적 상황에 대한 고민의 결정체란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 그런 맥락을 무시한 채 단순히 유불리만 따지는 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미국 법원 덕분에 망중립성 이슈가 널리 회자된 건 다행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기왕 이슈가 된 김에 단순히 누가 유리하고 불리하다는 ‘원색적 공방’을 하는 선에 머무르지 말았으면 좋겠다. 좀 더 생산적인 논의가 오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내가 이 글 서두에서 “망중립성 판결을 둘러싼 공방이 답답해 보인다”고 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상생이란 건 말로만 외쳐서 되는 문제가 아니다. 나만의 최선을 고집하기 보다는 ‘모두를 위한 차선’에 합의할 때 진정한 상생에 이를 수 있다. 망중립성 이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를 위해선 정책 당국이 중간에서 조정자 역할을 잘 감당해야 할 것이다. 모쪼록 삼자가 잘 조화된 멋진 결론에 이르길 진심으로 기원한다.

(덧글)

항소법원은 FCC의 오픈 인터넷 규칙 3대원칙 중 차별금지, 차단금지는 월권이라고 판결했다. 공중통신사업자에게나 적용할 규정을 정보서비스사업자에게 강요해선 안 된다는 게 판결 골자다. 이 판결은 FCC에겐 상당히 큰 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많다. 하지만 이 글에선 그 부분은 논외로 했다.

/김익현 글로벌리서치센터장 sini@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김익현]'망중립성 공방' 유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BJ과즙세연 TIMELINE

BJ과즙세연과 함께 걸어가는 방시혁 회장 8일 유튜브 채널 'I am WalKing'이 공개한 영상에서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지난 7월 미국 LA 베벌리힐스에서 유명 인터넷방송인 BJ과즙세연과 함께 걸어가는 모습이 포착됐다. 사진은 유튜브 영상 캡처.

  • 다음 뉴스에서 아이뉴스24 채널 구독 하고 스타벅스 커피 쿠폰 받으세요!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