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P2P를 둘러싼 공방은 주로 자유로운 정보 유통과 불법 콘텐츠 유통 경로란 관점에서 진행됐다. 하지만 P2P를 활용한 대용량 콘텐츠 유통이 늘어나면서 이젠 통신망 체증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아이뉴스24는 'P2P, 해방의 공간인가, 망 부하 주범인가'라는 기획시리즈를 통해 P2P가 통신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주] |
◆P2P, 저작권 논쟁 진행중
P2P(Peer-to-Peer)는 중간 서버나 도메인네임시스템(DNS)을 거치지 않고 정보를 찾는 사람의 컴퓨터와 해당 정보를 가진 사람의 컴퓨터를 직접 연결해서 통신한다. 당나귀, 냅스터, 소리바다, 파일구리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다.
이에 대해선 개인의 창작물을 자유롭게 교환하는 대표 인터넷 기술이란 주장과 저작권을 침해하는 불법 콘텐츠 유통 경로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최근 방한한 유럽의회 정당인 '해적당'의 아멜리아 의원은 "인터넷 시대에 창의 산업을 키우려면 파일공유, P2P 네트워킹 등 온라인상 저작물에 대한 자유로운 공유를 전면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한나라당 강승규 의원은 "P2P나 웹하드 때문에 콘텐츠가 죽고 있다"며 "문화부는 이들이 파일 필터링을 피하기 위해 확장자를 Zip, exe, iso형태로 바꿔 업로드를 유도하는 행위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 가이드라인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논쟁은 결국 저작권법 개정 논란으로 이어질 조짐이다.
공정이용을 활성화하고, 사전허락을 쉽도록 제도화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주장과 P2P업체들이 기술적 가이드라인을 피해 변칙행위를 못하도록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는 것이다.
◆P2P, 국내 통신망 트래픽 절반 차지
하지만 최근 들어선 P2P를 둘러싼 공방이 새로운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 P2P가 통신망 체증의 대표적인 요인이란 사실이 확인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것.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국내 전체 인터넷 트래픽의 절반 이상인 55%가 파일공유 같은 P2P로 인해 유발되고 있다.
수치로만 보면 P2P가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내 P2P 관련 서비스 업체는 240여개에 불과하다. 그 업체를 이용하는 소비자들 역시 전체 인터넷 이용 인구의 5% 남짓에 지나지 않는다. 결국 5% 남짓한 소비자들이 유발하는 트래픽이 전체 네트워크의 56%를 점유한다는 얘기다.
KTOA 관계자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중 데이터 트래픽을 과도하게 유발시키는 상위 5%의 헤비 유저는 전체 트래픽의 56% 이상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많게는 70% 이상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헤비 유저가 발생시키는 데이터 트래픽의 74% 이상이 P2P 파일공유 트래픽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이마커가 분석한 데이터 트래픽 예측자료에서도 P2P 파일 공유로 발생하는 트래픽 자체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영상 파일이 포함된 대용량 파일의 데이터 트래픽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따라 KTOA는 향후 동영상 파일 전송때에도 P2P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P2P, 개인서비스서 또 다른 IDC로
통신회사들이 P2P에 더욱 주목하는 것은 얼마 전부터 P2P가 개인간 파일공유에 머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P2P기반 콘텐츠전송네트워크(CDN)이란 방식으로 통신회사의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매출을 갉아먹고 있는 것이다.
IDC를 운용중인 KT나 LG텔레콤, SK브로드밴드는 이노그리드·피어링포탈·클루넷·시디네트웍스 같은 P2P 방식을 이용한 CDN 업체들이 P2P 방식으로 설비 투자없이 과도한 통화량(트래픽)을 유발하고 IDC 매출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통신사 IDC에 입주해 있는 웹하드 제공업체 등에 관련 소프트웨어를 팔거나, 통신사로부터 전용회선을 빌려 소프트웨어를 장착해 직접 P2P방식의 CDN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를 이용하면 고객 개인의 PC에 그리드 모듈이 심어져 PC 자원을 활용해 전송하기 때문에, 트래픽 소통량을 분산시킬 수 있다. 대신 IDC 트래픽의 최대 40% 이상이 줄어 통신회사의 IDC 회선 매출을 크게 줄게 된다.
이를테면 IDC에 입주해 백본비(2G, 월 1천800만원)를 내지 않아도 초고속인터넷 20회선(월68만원)에 가입해 P2P 사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P2P방식의 CDN 업체 한 사장은 "방법은 조금씩 다르지만 P2P 방식 그리드를 이용하면 통신회사 IDC 매출이 최대 40% 정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KTOA에 따르면 P2P 기반 CDN 때문에 국내 통신사들은 연간 2천억원(P2P트래픽 기준)의 손실을 예상하고 있다. KTOA측은 "아프리카, 곰, 다음 등 기존 웹TV도 P2P 기반 스트리밍 기술을 사용해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제공중이어서 통신회사의 수익성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현아기자 chaos@inews24.com 강은성 기자 esther@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